경(輕)과 중(重)
점획의 경(輕)과 중(重)은 제(提)와 안(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필(下筆)을 가볍게 하면 나타나는 점획이 가늘고, 무거우면 점획이 굵은 것은 당연하다. 경중(輕重)과 제안(提按)이 동일한 것 같은 착각이 들지도 모르나, 양자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이다. 곧 제안(提按)은 점획간의 기필(起筆)과 행필(行筆)과 수필(收筆)에 있어서, 용력(用力)에 따라 조세(粗細)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고, 용필(用筆)의 경중(輕重)은 점획의 내적 변화 뿐만 아니라 비첩(碑帖)의 풍격(風格)과 특징까지도 표현되는 것이다.
서법(書法)은 용필(用筆)의 경중에 따라 각기 특징을 지니는 것이어서, 모든 작품에서 느낌도 달리 한다.
용필(用筆)이 경(輕)하면 영활하고 수려함을 느끼게 하는 바, 이러한 예를 예서(隸書)의 [조전비(曹全碑)]에서 볼 수 있으며, 용필(用筆)이 중하여 단장하고 침착한 느낌을 주는 것은 [장천비(張遷碑)]에서 볼 수 있다.
용필(用筆)의 경중(輕重)에 대해서는 필호(筆毫)가 종이에 닿는 부분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눈다. 호(毫)의 중간에서 봉(鋒)까지의 사이를 삼등분하여 붓이 지면에 닿는 부분이 3분의 1일 경우, 이것을 '용일분필(用一分筆)'이라 하고 3분의 2일 경우를 '용이분필(用二分筆)', 그리고 호(毫)의 하반부(下半部)가 종이에 닿는 경우를 '용삼분필(用三分筆)'이라고 한다.
이것을 각각 비첩(碑帖)에서 찾아보면
일분필(一分筆) : 예기비(禮器碑), 장맹룡비(張猛龍碑), 황보탄비(皇甫誕碑)
이분필(二分筆) : 장천비(張遷碑), 정문공비(鄭文公碑),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
삼분필(三分筆) : 서협송(西狹頌), 동방삭화찬(東方朔畵贊)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작품은 용필(用筆)의 경중(輕重)으로 특징지어져 있어서 어떠한 비첩(碑帖)이든 간에 임첩(臨帖)에 앞서 용필(用筆)의 경중을 심중(心中)에 두나면, 보다 용이하게 원작품의 격조와 화합을 통일시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용필(用筆) 상의 특징을 소홀히 한다면 일분필(一分筆)의 [예기비(禮器碑)]를 삼분필(三分筆)로 써서 비중(肥重)하여 수경(瘦勁) 관작(寬綽)한 [예기비(禮器碑)]의 특징을 잃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나 어느 획은 일분필(一分筆)을 쓰고, 다른 획은 이분필(二分筆)로, 또 다른 획은 삼분필(三分筆)로 써서 필획의 조세적(粗細的) 변화를 뚜렷히 보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는 경우를 달리 하여 어느 서가(書家)는 일분필(一分筆)을 쓰고, 어느 사람은 이분필(二分筆)을, 어느 서가(書家)는 삼분필(三分筆)을 써서, 각자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서예세상 > 서론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력과 필압 (0) | 2018.01.01 |
---|---|
운필 5 중봉(中鋒), 측봉(側鋒), 편봉(偏鋒) (0) | 2018.01.01 |
운필 4 장봉(藏鋒)과 노봉(露鋒) (0) | 2018.01.01 |
운필 2 방(方)과 원(圓) (0) | 2018.01.01 |
운필1 轉 과 折 (0) | 2018.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