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세상/서예이야기

書風의 변천사

bogokjh 2012. 5. 31. 20:08

 

서예발달사를 통해 본

書風의 큰 줄기[大幹]

1. 서예의 출발

 한(漢)제국(BC 206년 ~ AD 220년 지금부터 약 2,000년 전)에 이르러 모 든 서체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 한말에 이르러 글씨를 예술로 보는 시각이 싹트기 시작했다.

 대표적 인물 : 채옹(蔡邕)의 〈서세설(書勢說)〉- 書란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글씨가 예술  이 될 수 있는 길을 개척

 

2. 書風의 시대 구분 (董其昌 - 明)

晉人尙韻 (진나라 사람들은 을 숭상하고)

 唐人尙法 (당나라 사람들은 을 숭상하고)

 宋人尙意 (송나라 사람들은 를 숭상하였다)

 元.明人尙態 (원,명나라 사람들은 를 숭상했다. - 淸代의 양헌)

 

3. 서풍의 특징과 배경

晉人尙韻

 시대적 배경

한나라가 멸망한 뒤 정치는 어지러워 졌지만 그 속에서 오히려 낭만과 예술 꽃으로 피는 위. 진, 남북조 시대가 열린다. 자유로운 사상의 유행, 강남의 풍부한 경제의 힘과 귀족층의 형성, 종이의 발 명으로 서예의 빠른 발전을 보았고 서화동원(書畵同源)의 관념으로 운(韻)을 가장 중요한 서예의 아름다움으로 삼았다.

 운(韻)의 개념

운(韻)이란 본래 詩에서 느끼는 감흥을 이르는 말인데 서예뿐만 아 니라 그림에서도 미의 기준으로 운(韻)을 추구하였다.

즉, 시각적인 측면에서 획에서 생기는, 기운, 힘, 골기, 맑은 먹색 등 의 생기와 結句 章法 등에서 오는 공간 구성의 미를 의미한다.

 대표적인 인물 : 王羲之(왕희지) 鍾繇(종요) 王獻之(왕헌지)

                                                         

 

 

唐人尙法

시대적 배경

위.진 시대를 거쳐 남북조시대에 북위를 중심으로 번창한 해서가 수나 라를 거쳐 당나라에 이르러 한층 가지런하고 틀이 만들어지면서 엄격 한 규율을 강조하는 해서가 완성 된다.

 대표 인물과 思潮의 흐름

구양순, 저수량, 우세남 이라는 초당(初唐) 3대가가 나타나게 되고 이 들은 법을 중시하는 해서의 극치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안진경으로 대표되는 또 하나의 풍격은 새로운 예술 규범과 표준의 확정, 파괴된 법과 질서를 다시 확립하게 된다.

                                                                  

 

 

宋人尙意

시대적 배경

왕희지 등 위, 진시대의 글씨를 계승한 기존의 서예는 가늘고 이지적 이며, 단정하고 南方의 典雅함이라는 귀족중심의 문화를 이루었다.

이와 다르게 안진경의 글씨는 획이 굵고 강건, 웅대하며, 北方의 강 직함 즉 서민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宋代에 이르러 평민중심의 문 화변하면서 안진경의 글씨는 사회적 典範이 되었다.

宋人尙意의 의미 [핵심어 - 法古 創新]

황산곡(황정견)" 은 글씨를 말할 때 그 사람과 함께 논한다는 "논서급 인"(論書及人) 즉, 인품을 중시한다는 서예관을 말하였다.

그는 행.초서를 위주로 하면서 意 즉, "마음이 가는 바"인 자신의 창의 성, 개성, 성품을 표현하는 創新을 중시하되 法古(옛것을 배움)를 바 탕으로 할 것을 주장하였다.

 學書의 단계

첫째, 學古(옛것을 배운다)

둘째, 尙意 (자신의 면모를 중시하는 작품을 하여야 한다)

셋째, 歸自然 (자연의 미를 추구하는 경지)

 대표인물 : 채양, 소동파, 황산곡, 미불 - 송 4대가

                                                                      

 

 

南宋과 서예위기

 악찰현상(惡札現象)

宋나라는 말기에 이르러 북쪽의 다른 민족에게 밀려 남쪽으로 쫓겨내 려 온다. 그 뒤로 글씨가 나름의 개성만을 중시하는 경향을 띄게 되었 고, 그것이 지나쳐서 점점 제멋대로 쓰는 글씨로 바뀌어 글씨 본래의 맛을 잃어가게 되었다. 심지어 편지 글인데도 편지를 받아보는 사람이 그 내용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변질된 이상한 글씨체로 어지러웠다. 이를 남송의 악찰현상(惡札現象)이라고 한다.

 서예의 위기

宋의 尙意 서풍은 法古를 바탕으로 創新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法古 는 없어지고創新만 강조되는 모양새가 되었다.

 復古主義의 擡頭

서예인들의 복고는 晉나라의 왕희지이다. 이를 앞서서 부르짖으며 나타 난 자가 바로 元나라의 "조맹부"였다. 조맹부는 어지러운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하여 진정한 서예는 晉나라 사람이 숭상하던 韻(운)의 경지로 돌아가야 한다는 방향을 내세우고, 왕희지를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元.明人尙態

 시대적 배경

元나라는 몽고족이 세운 나라이다. 저급한 문화를 가진 유목민이 다스 리던 나라는 문화가 황폐하게 되는 위기상황을 맞게 된다. 글씨에서도 남송의 악찰 현상 등 혼란한상황이 계속된다.

이러한 시기에 선각자들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왕희지가 하던 서예 를 본으로 삼고 晉나라 사람이 숭상하던 韻으로 귀착하려 하였고, 왕 희지에게로 다시 돌아가자고 하였다.

조맹부활약

그는⟦서예를 공부하는 데는 두 가지를 배워야 하는데, 첫 번째가 運 筆이요, 두 번째는 字形이다. 운필이 능숙하지 못하면 (모양을)잘 써도 오히려 좋은 글씨가 못되고, 자형이 묘하지 않으면 (운필을)능숙하게 써도 오히려 어설프다. 글씨를 공부하는 사람은 이를 바로 이해해야 비 로소 글씨를 논할 수 있다.⟧고 하면서 그는"자형"을 강조하고 있다. 즉, 새로운 조형을 꿈꾸고 있다는 것이다.

態의 개념

結字《글자의 구성》를 통해 創新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곧 새로운 조형을 찾는 것이다. 이어서 "결자는 시대로 인하여 서로 전하여 지고, 운필법은 천고에 불변이라" (結字因時相傳, 用筆千古不易) 하여 “결자” (즉 態)의 시대성을 강조하였다.

元대 이후 明.淸初까지 중국서단이 대부분 조맹부의 영향 아래에 놓이 게 된다. 元과 明나라 사람의 尙態 서풍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淸代 : 변화된 서예의 부흥기

 시대적 배경

 명대의 축윤명, 문징명을 비롯하여 동기창에 이르는 쟁쟁한 서예가들 이 매우 아취있는 서예술을 이룩하였으나 元代의 조대맹부 뒤의 큰 흐름 아래에 있었다.

 淸代는 지배자였던 滿洲族의 문화가 저급하였던 시절이다. 지배자들 은 사상과 철학공부를 금지하여 학자들은 경전을 통한 사상공부를 못하게 되자 글자의 정리, 도서목록의 정리, 성운학, 문자학 따위를 공부하였다.

 옛날에 만든 책과 자료에 대한 잘못을 가려내고 진위를 분명히 하고 자 하는 "고증학“이 발달하게 되어 글씨에서도 옛것의 원본을 중요시 하게 되어 ”금석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서예에 관한 자료를 보는 방법과 서예공부를 하는 방법이 달라졌다

 서예의 변화된 부흥

등석여, 포세신, 강유위 등의 활동으로 다시 한번 변화된 서예의 부흥 기를 맞이하였으며 옹방강과 그의 제자 완원에 이르러〈南北書派論〉, 〈北碑南帖論〉이 나오게 되었다.

 완원의 南北書派論

晉나라가 강남으로 이동한 뒤 그곳의 풍부한 물산과 발달한 귀족문화 를 바탕으로 하여 나온 왕희지 중심의 글씨를 남파라 했고,

중원을 차지하고 한나라 전통 예서를 계승하여 발달한 북쪽의 해서중 심 글씨를 북파라 했다.

 서예 영역의 확장

청나라는 잠자고 있던 漢.魏시대 비석 문자에서 예술의 가치를 찾아내 어 서예 영역을 끝없이 넓혔다. 비석새긴 글씨, 청동기주조한 금문 글씨, 甲骨에 칼로 판 글씨, 벽돌과 기왓장새긴 글씨 그리고 篆刻에 이르기까지 어느 것 하나라도 글씨의 뿌리에서 본질을 비켜가 지 않았다. 그래서 이 모든 것들이 書藝라는 테두리 안에 들게된다.

 서풍의 새로운 영역 개척

새로운 영역 개척의 시도가 성공하려면 과거 어느 시대이든 나름대 로 이유가 있었다. 어느 시대에도 서예의 본바탕을 잃어버리지 않고 확 장 발전 시켰다는 데 그 비결을 찾을 수 있다.

시대마다 중요하게 생각한 요소는 각기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晉나라 사람들이 근본이라고 생각한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장한 것 이다. 즉, 법도 개성도 신조형도 모두 韻을 효과 있게 표현하기 위하여 그 시대성을 반영한 표현일 뿐이었다.

    

 

 

 

'서예세상 > 서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감 작품  (0) 2014.06.02
필력(筆力)에 대하여  (0) 2013.02.15
草書의 역사  (0) 2012.02.12
草書의 32 規則  (0) 2012.01.30
草書(초서)의 미  (0) 20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