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세상/漢文 古典

明心寶鑑-1繼善篇 ~7 存心篇

bogokjh 2011. 7. 7. 21:19

 

1. 繼善篇

 2. 天命篇

 3. 順命篇

 4. 孝行篇

 5. 正己篇

 6. 安分篇

 7. 存心篇

1. 繼善篇

    계선편에는 선악(善惡)에 관한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子曰 爲善者 天報之以福 爲不善者 天報之以禍

 자왈   위선자     천보지이복      위불선자    천보지이화

 

  ☞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시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를 주신다."

 

  ▷ 子는 夫子의 줄임말로 공자(孔子, B.C. 551∼479)의 존칭이다. 공자는 노(魯)나라의 대학자이자 유교의 원조로서 이름은 구(丘)이고 자(字)는 중니(仲尼)이다.  ▷ 爲 : ~을 하다, ~을 행하다   ▷ ~者 : ~을 하는 사람, ~을 하는 것   ▷ 報 : 갚을 보  ▷ 之 : ~의, ~에 가다

 

 漢昭烈將終 勅後主曰 勿以善小而不爲 勿以惡小而爲之

 한소열장종     칙후주왈       물이선소이불위      물이악소이위지

 

  ☞ 한(漢)나라의 소열황제(昭烈皇帝)가 죽을 때 후주(後主)에게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비록 작은 선(善)이라고 해도 행하지 않으면 안되며, 작은 악(惡)이라고 해서 행하면 안된다."

 

  ▷ 소열(昭烈)은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황제가 된 후의 시호  ▷ 將 : 장차 장  ▷ 終 : 마칠 종. 죽음을 뜻함.  ▷ 勅 : 조서 칙, 타이를 칙, 경계할 칙. *조서는 천자나 임금의 명령을 적은 문서.  ▷ 후주는 유비의 아들 유선을 말한다.  ▷ 勿 : 말 물 '~하지 말라'와 같이 금지를 나타내는 말  ▷ 以 : ~로써, ~하여서, ~하기 때문에  ▷ 而 : 말 이을 이. ~하고, ~하여, ~이어서, ~하나, ~하여도  ▷ 爲 : 할 위

 

 莊子曰 一日不念善 諸惡皆自起

 장자왈    일일불념선      제악개자기

 

  ☞ 장자가 말하기를,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여러 악한 것이 모두 저절로 일어난다."

 

  ▷ 諸 : 모두 제, 여러 제  ▷ 皆 : 다 개  ▷ 自 : 스스로 자, 저절로 자, 자기 자

 

太公曰 見善如渴 聞惡如聾

又曰 善事須貪 惡事莫樂


  ☞ 태공이 말하기를,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을 본 듯이 주저하지 말며, 악한 것을 듣거든 귀머거리 같이 하라." 또 말하기를, "착한 일이란 모름지기 탐내어 하고, 악한 일이란 즐겨하지 말라."

 

  ▷ 渴 : 목마를 갈  ▷ 聾 : 귀머거리 롱  ▷ 須 : 모름지기 수 '마땅히 ~해야 한다'는 뜻  ▷ 莫 : 없을 막, 말 막. '~하지 말라'(금지의 뜻)

 

馬援曰 終身行善 善猶不足 一日行惡 惡自有餘

 마원왈     종신행선     선유부족     일일행악    악자유여

 

  ☞ 마원이 말하기를, "한평생 착한 일을 행하여도 착한 것은 오히려 부족하고, 단 하루 악한 일을 행하여도 그 악(惡)은 스스로(그대로) 남아 있다."

 

  ▷ 마원(B.C. 11∼A.D. 49) : 후한(後漢)의 장군으로 자는 문연(文淵).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복파장군(伏波將軍)으로 임명되어 베트남과 흉노(匈奴) 토벌 등 많은 무공을 세웠고, 그 공으로 신식후(新息侯)에 봉해졌다.  ▷ 終身 : 죽는다는 뜻  ▷ 猶 : 오히려 유, ~와 같을 유. '여전히, 또한, 아직도'  ▷ 餘 : 남을 여

 

司馬溫公曰 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守 積書以遺子孫

 사마온공왈     적금이유자손      미필자손능진수       적서이유자손

 未必子孫能盡讀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以爲子孫之計也

 미필자손능진독        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         이위자손지계야

 

  ☞ 사마온이 말하기를, "돈을 모아서 자손들에게 물려준다 하여도 자손들이 반드시 그 돈을 다 지킨다고 볼 수 없으며, 책을 모아서 자손들에게 남겨 준다 하여도 자손들이 반드시 그 책을 다 읽는다고 볼 수 없으므로, 남이 모르는 가운데 덕을 쌓아서 자손을 위한 원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만 같지 못하다."

 

  ▷ 사마온(司馬溫)은 북송(北宋) 때의 명신(名臣)  ▷ 公 : 상대를 높이는 말  ▷ 以 : ~함으로써  ▷ 遺는 끼칠 유, 줄 유, 남길 유, 잃을 유, 버릴 유  ▷ 未必 : 반드시 ~하는 것은 아니다  ▷ 盡 : 다할 진, 다 진, 모두 진  ▷ 不如 : ~만 못하다. ~하는 것만 못하다. ~만 같지 않다.  *莫如 : ∼만 같은 것이 없다  ▷ 陰德 : 陰德陽報의 준말로서 '남모르게 좋은 일을 하면 드러나는 보답이 있다'는 뜻  ▷ 冥 : 어두울 명  ▷ 爲 : 할 위, 위할 위, 될 위, '~로 삼다. ~로 여기다. ~로 생각하다.'

 

景行錄曰 恩義廣施 人生何處不相逢

 경행록왈     은의광시      인생하처불상봉


 讐怨莫結 路逢狹處難回避

  수원막결     노봉협처난회피

 

  ☞ <경행록>에 이르기를, 은혜와 의리를 널리 베풀라. 사람이 어느 곳에서 살든 서로 만나지 않으랴. 원수와 원한을 맺지 말라. 길이 좁은 곳에서 만나면 피하기 어렵다.

 

  ▷ 경행록(景行錄) : 밝고 올바른 행실을 기록한 중국 송나라 때의 책으로 현재 전해지지는 않는다.  ▷ 生 : ~에 살다  ▷ 何 : 어찌 하, 무엇 하  ▷ 讐 : 원수 수  ▷ 莫 : 말 막  ▷ 逢 : 맞이할 봉  ▷ 狹 : 좁을 협  ▷ 難 : '~하기 어렵다'의 뜻  ▷ 避 : 피할 피

 

 莊子曰 於我善者我亦善之 於我惡者我亦善之

  장자왈     어아선자아역선지         어아악자아역선지

我旣於人無惡 人能於我無惡哉

 아기어인무악      인능어아무악재


  ☞ 장자가 말하기를, "나에게 착한 일을 하는 자에게 나 또한 착하게 하고, 나에게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도 나 또한 착하게 할 것이다. 내가 처음부터 남에게 악하게 하지 않으면 남도 나에게 악하게 할 수 없을 것이다."

 

  ▷ 於 : 어조사 어. '~에, ~에서, ~보다, ~를'  ▷ 善·惡 : ~을 선(악)하게 여기다. ~을 선(악)하게 대하다   ▷ 旣 : 이미, 처음부터, ~하는 동안에, 이윽고  ▷ 哉 : 말이나 글의 끝에 쓰이어 감탄이나 반문(反問)을 나타내는 어조사

 

東岳聖帝垂訓曰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동악성제수훈왈       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一日行惡 禍雖未至 福自遠矣 行善之人 如春園之草

일일행악    화수미지     복자원의      행선지인      여춘원지초

不見其長 日有所增 行惡之人 如磨刀之石 不見其損 日有所虧

 불견기장    일유소증     행악지인      여마도지석      불견기손     일유소휴

 

  ☞ 동악성제(東岳聖帝)가 훈계를 내려 말하기를, "하루 착한 일을 행하면 복(福)은 비록 당장 이르지 아니하나 화(禍)는 스스로 멀어지고, 하루 악한 일을 행하면 화는 비록 당장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스스로 멀어진다.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나는 것이 보이지 않으나 날로 더해지는 바가 있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숫돌과 같아서 닳아 없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으나 날로 이지러지는 것과 같다."

 

  ▷ 東岳聖帝는 도교(道敎)의 신으로 동악대제(東嶽大帝:泰山神)라고도 한다.  ▷ 垂 : 드리울 수, 베풀 수  ▷ 訓 : 가르칠 훈  ▷ 雖 : 비록 수  ▷ 矣 : 오로지 글의 끝에서만 쓰이는 어조사. 결과를 단정하거나 감동·강조·결의 등을 나타낸다.  ▷ 其 : 그(지시대명사), ~의(관형격 조사), 그(감탄, 강세조사)  ▷ 日 : '날마다'의 뜻  ▷ 磨 : 갈 마  ▷ 損 : 덜 손  ▷ 虧 : 이지러질 휴

 

 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자왈     견선여불급      견불선여탐탕

 

  ☞ 공자가 말하기를, "착한 것을 보거든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하고, 악한 것을 보거든 끓는 물을 만지는 것과 같이 하라."

 

▷ 及 : ~에 미치다, 이르다, 끼치다, ~및, ~와  ▷ 探 : 찾을 탐  ▷ 湯 : 끓일 탕, 끓는 물 탕


 2. 天命篇

   선을 지키고 악을 버리는 하늘의 진리, 하늘의 명에 관한 글귀들이 있다.

 

子曰 順天者存 逆天者亡

 자왈   순천자존     역천자망

 

  ☞ 공자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는 자는 살고, 하늘을 거역하는 자는 망한다."

 

  ▷ 順 : 좇을 순, 순할 순  ▷ 逆 : 거스를 역

 

康節邵先生曰 天聽寂無音 蒼蒼何處尋

강절소선생왈      천청적무음      창창하처심

非高亦非遠 都只在人心

 고역비원      도지재인심

 

  ☞ 강절(康節) 소(邵)선생이 말하기를, "하늘의 들으심은 고요하여 소리가 없으니 창창한 하늘 어느 곳에서 찾을 것인가. 높지도 않고 또한 멀지도 않으니, 모든 것이 다만 사람의 마음속에 있을 뿐이다."

 

  ▷ 寂 : 고요할 적  ▷ 蒼 : 푸를 창  ▷ 何 : ①어찌, 어째서, 어떻게(의문 조사) ②얼마, 무엇, 어느(의문대명사)  ▷ 尋 : 찾을 심  ▷ 亦 : 또 역  ▷ 都 : 모두 도. 都大體(도대체), 都合(도합)  ▷ 只 : 다만 지

 

 玄帝垂訓曰 人間私語 天廳若雷 暗室欺心 神目如電

 현제수훈왈      인간사어     천청약뢰    암실기심    신목여전


  ☞ 현제가 훈계를 내려 말하기를, "사람간의 사사로운 말이라도 하늘이 듣는 것은 우레와 같고, 어두운 방에서 남의 마음을 속여도 귀신의 눈은 번개와 같다."

 

  ▷ 垂 : 드리울 수, 베풀 수  ▷ 若 : 같을 약  ▷ 雷 : 우레 뢰  ▷ 欺 : 속일 기  ▷ 電 : 번개 전

 

益智書云 惡若滿 天必誅之

 익지서운     악관약만    천필주지

 

  ☞ <익지서>에 이르기를 "만일 악한 마음이 가득 차면 하늘이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 익지서(益智書)는 송대(宋代)의 지혜서.  ▷  : 두레박 관. 두레박을 마음에 비유하였다.  ▷ 若 : 같을 약, 만일 약, 너 약  ▷ 誅 : 벨 주

 

莊子曰 若人作不善 得顯名者 人雖不害 天必戮之

 장자왈    약인작불선      득현명자      인수불해    천필륙지


  ☞ 장자가 말하기를, "만일 사람이 악한 일을 해서 세상에 이름을 드러낸 자는 비록 사람이 그를 해치지 않더라도 하늘이 반드시 그를 죽일 것이다."

 

  ▷ 不善 = 惡  ▷ 顯 : 나타낼 현, 드러낼 현. 현명(顯名)은 이름이 세상에 드러남. 즉, 유명해짐  ▷ 雖 : 비록 수  ▷ 戮 : 죽일 륙

 

種瓜得瓜 種豆得豆 天網恢恢 疎而不漏

 종과득과    종두득두      천망회회     소이불루

 

  ☞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 것이니, 하늘의 그물은 넓고 넓어서 성기기는 하나 새지는 않는다.

 

  ▷ 種 : 씨 종, 심을 종  ▷ 瓜 : 오이 과  ▷ 豆 : 콩 두  ▷ 網 : 그물 망  ▷ 恢 : 넓을 회. 회회는 '넓고도 넓음'.  ▷ 疎 : 성길 소. 공간적으로 사이가 뜸. 관계가 긴밀하지 못함  ▷ 而 : ~하나, ~하여도  ▷ 漏 : 샐 루

 

子曰 獲罪於天 無所禱也

 자왈   획죄어천     무소도야

 

  ☞ 공자가 말하기를, "(악한 일을 하여)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게 된다."

 

  ▷ 獲 : 얻을 획  ▷ 於 : ~에서, ~에게, ~까지, ~로부터 등을 나타내는 어조사  ▷ 禱 : 빌 도

 

3. 順命篇

  하늘의 이치, 자연의 이치를 거스리지 않고 자신의 본분과 분수에 맞는 생활에 관한 글귀

 

子曰 死生有命 富貴在天

 자왈   사생유명     부귀재천


 ☞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천명(天命)에 있고, 부귀(富貴)는 하늘에 달려 있다."

 

  ▷ 命 : ①목숨→生命 ②운명 · 운수→運命 ③명령→天命 ④이름짓다→命名 ⑤표적→命中  ▷ 天 : 천명, 운명, 하늘의 뜻

 

 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

만사분이정     부생공자망

 

  ☞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해져 있는데, 덧없는 세상 사람들이 부질없이 스스로 바쁘게 움직인다.

 

  ▷ 分 : ①나눌 분→分斷  ②구별할 분→分別  ③길이·무게·시간·각도·화폐 등의 단위→十分  ④신분·직분·분수→身分  ▷ 已 : 이미 이  ▷ 定 : 정하다, 정해지다, 반드시  ▷ 浮 : 뜰 부. 浮生은 '덧없는 인생'의 뜻  ▷ 空 : 빌 공. 여기서는 '헛되이, 공연히'의 뜻  ▷ 自 : 스스로, 몸소, 저절로, 자연히, 자기, ~로부터  ▷ 忙 : 바쁠 망

 

景行錄云 禍不可倖免 福不可再求

 경행록운    화불가행면      복불가재구

 

☞ <경행록>에 이르기를, 화는 요행히 면할 수 없는 것이요, 복은 두 번 얻을 수 없느니라.

 

▷ 禍 : 재화(災禍), 재앙(災殃), 불행, 근심, 죄  ▷ 可 : 옳을 가, 가히 가. '~할 수 있다'.  *不可 : ~할 수 없다, ~해서는 안된다  ▷ 倖 : 요행 행, 다행 행  ▷ 免 : 면할 면, 벗을 면  ▷ 再 : 두 번 재, 거듭 재  ▷ 求 : 구할 구, 찾을 구, 청할 구

 

 時來 風送騰王閣 運退 雷轟薦福碑

  시래    풍송등왕각     운퇴      뇌굉천복비

 

  ☞ (운이 좋아) 때가 오면 바람이 일어나 등왕각으로 보내주지만, 운이 물러가면 천복비에도 벼락이 떨어진다.

 

  ▷ 등왕각과 천복비에 관한 고사  ▷ 騰 : 오를 등  ▷ 閣 : 누각 각  ▷ 轟 : 수레 모는 소리 굉, 천둥소리 굉  ▷ 薦 : 천거할 천, 드릴 천, 거적 천  ▷ 碑 : 돌기둥 비

 

列子曰 痴聾痼啞家豪富 智慧聰明却受貧

열자왈     치롱고아가호부         지혜총명각수빈

年月日時該載定 算來由命不由人

 연월일시해재정      산래유명불유인

 

  ☞ 열자가 말하기를, "어리석고 귀먹고 고질이 있고 벙어리라도 집은 큰 부자요, 지혜 롭고 총명하지만 도리어 가난하다. 운수는 해·달·날·시(年月日時)가 모두 처음부터 정하여져 있으니, 따지고 보면 빈부는 천명에 있는 것이지 사람에게서 말미암음에 있지 않다."

 

  ▷ 痴 : 어리석을 치. 본자(本字)는 癡  ▷ 聾 : 귀머거리 롱  ▷ 痼 : 고질병 고  ▷ 啞 : 벙어리 아  ▷ 豪 : 호걸 호, 성할 호. 豪富는 우리말로 부호(富豪)  ▷ 慧 : 슬기로울 혜  ▷ 聰 : 귀밝을 총, 총명할 총  ▷ 却 : 물리칠 각. 여기서는 '도리어, 오히려'의 뜻으로 부사로 쓰였다.  ▷ 貧 : 가난할 빈  ▷ 年月日時 = 사주(四柱)  ▷ 該 : 그 해, 해당할 해, 갖출 해, 모두 해  ▷ 載 : 실을 재  ▷ 算 : 셈할 산, 수 산. '셈을 해 보다'는 '운수를 따져 보다'의 뜻으로 쓰였다.  ▷ 由 : 말미암을 유  *來由 = 유래(由來)  *不由人 : '사람으로부터 비롯된 까닭이 아니다'의 뜻

 

4. 孝行篇

      백행(百行)의 근본이라 하는 효(孝)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

 

詩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生我勞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欲報深恩 昊天罔極

 욕보심은     호천망극

 

  ☞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아! 슬프도다, 부모님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시고 고생하셨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나, 은혜가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네."

 

  ▷ 詩는 시경(詩經)을 말한다.  ▷ 혜(兮) : 멈춤·완만함·감정·감탄을 나타내는 어조사. '~여!, ~인가!'  ▷ 生 : 낳다, 살다  ▷ 鞠 : 기를 국  ▷ 哀 : 슬플 애  ▷  : 수고로울 구  ▷ 勞 : 일할 로, 힘쓸 로  ▷ 欲 : 하고자 할 욕, 바랄 욕  ▷ 昊 : 넓을 호, 하늘 호  ▷ 罔 : 없을 망, 그물 망, 속일 망  ▷ 極 : 다할 극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 공자가 말하기를, "효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 기거하심에는 그 공경을 다하고, 봉양할 때에는 즐거움을 다 하며, 병드신 때에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가셨을 때에는 슬픔을 다하며, 제사를 지낼 때에는 엄숙함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 事 : 섬길 사  ▷ 親 : 어버이 친  ▷ 也 : 글의 끝에 쓰일 때에는 긍정하거나 판단함을 나타내고(~이다, ~다), 글의 중간에 쓰일 때에는 멈춤을 나타낸다(~이, ~는, ~에, ~와)  ▷ 居 : 살 거, 있을 거  ▷ 則 : 곧 즉( ~하면 곧), 법 칙  ▷ 致 : 이를 치, 다할 치  ▷ 其 : 그 기  ▷ 養 : 기를 양, 가르칠 양, 다스릴 양, 봉양할 양  ▷ 憂 : 근심할 우  ▷ 喪 : 죽을 상. 여기서는 '어버이의 상을 당하다'의 뜻  ▷ 祭 : 제사 제  ▷ 嚴 : 엄할 엄

 

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 부모가 살아 계시면 멀리 떠나지 말 것이며, 떠나더라도 반드시 가는 방향을 알려야 한다.

 

  ▷ 遊 : 놀 유, 여행할 유  ▷ 方 : 모(네모), 방위·방향, 곳·장소, 방법, 바르다(방정方正)

 

父命召 唯而不諾 食在口則吐之

부명소    유이불락      식재구즉토지

 

  ☞ 아버지가 부르시면 즉시 예, 하고 대답하고 머뭇거리지 않으며, 음식이 입에 있으면 이를 곧 뱉어야 한다.

 

  ▷ 召 : 부를 소  ▷ 唯 : 오직 유, 대답할 유. 여기서는 부를 때 대답하는 소리('예')를 뜻한다  ▷ 諾 : 대답할 락, 승낙할 락. 不諾은 대답만 하고 바로 응하지 않음  ▷ 食 : 먹을 식, 밥 식  ▷ 吐 : 토할 토

 

太公曰 孝於親 子亦孝之 身旣不孝 子何孝焉

 태공왈   효어친     자역효지     신기불효     자하효언

 

  ☞ 태공이 말하기를,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내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하기 마련이니, 자신이 어버이에게 효도를 하지 않았는데 자식이 어찌 나에게 효도하겠는가?"

 

  ▷ 於 : ~에게, ~에  ▷ 親 : 어버이 친  ▷ 亦 : 또 역  ▷ 之 : 지시대명사  ▷ 旣 : 이미 기(과거를 나타냄)  ▷ 何 : 어찌 하, 무엇 하  ▷ 焉 : 어찌 언, 이에 언, 여기 언

 

孝順還生孝順子 逆還生逆子

효순환생효순자        오역환생오역자

不信但看頭水 點點滴滴不差移

불신단간첨두수       점점적적불차이


 ☞ 효도하고 순종하는 사람은 또한 효순(孝順)한 자식을 낳으며, 부모에게 거역하는 사람은 또한 거역하는 자식을 낳는다. 이를 믿지 못하겠거든 저 처마 끝의 낙수를 보라.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이 정확하여 어긋남이 없는 것을.

 

  ▷ 順은 순응(順應)·순종(順從)한다는 뜻  ▷ 還 : 돌아올 환. 여기서는 '다시, 도리어, 도로'의 부사로 쓰였음  ▷  : 거스를 오  ▷ 逆 : 거스를 역  ▷ 但 : 다만 단, 무릇 단  ▷ 看 : 볼 간  ▷  : 처마 첨  ▷ 點 : 점 점  ▷ 滴 : 물방울 적  ▷ 差 : 어긋날 차  ▷ 移 : 옮길 이

 

5. 正己篇

    맑은 마음과 바른 몸가짐을 가지는 수신(修身)에 도움이 되는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性理書云 見人之善而尋己之善

성리서운       견인지선이심기지선 

見人之惡而尋己之惡 如此方是有益

 견인지악이심기지악         여차방시유익

 

  ☞ <성리서>에 이르기를, "남의 착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착함을 찾고, 남의 악한 것을 보고서 자신의 악함을 찾아야 할 것이니, 이와 같이 하게 되면 바야흐로 유익함이 있을 것이다."

 

  ▷ 성리서(性理書) :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인 성리학에 관한 송나라 때의 책  ▷ 云 : 이를 운  ▷ 人 : 다른 사람, 타인(他人)을 뜻함  ▷ 而 : 말 이을 이  ▷ 尋 : 찾을 심  ▷ 如此 : 이와 같이 하면, 이와 같으면  ▷ 方 : 바야흐로 방  ▷ 是 : 이, 이것, 여기

 

景行錄云 大丈夫 當容人 無爲人所容

 경행록운    대장부    당용인     무위인소용


  ☞ <경행록>에 이르기를, "대장부는 마땅히 남을 용서할지언정 남의 용서를 받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

 

  ▷ 當 : 마땅할 당  ▷ 容 : 얼굴 용, 담을 용, 품을 용, 용납할 용  ▷ 無 = 莫, 勿(금지의 뜻)  ▷ 爲 : 될 위  ▷ 所 : 바 소  *爲~A 所~B : 'A에게 B를 당하다, A의 B하는 바가 되다'의 뜻(피동형)

 

太公曰 勿以貴己而賤人 勿以自大而蔑小 勿以恃勇而輕敵

태공왈   물이귀기이천인        물이자대이멸소        물이시용이경적

 

  ☞ 태공이 말하기를, "자기의 몸이 귀하다고 하여 남을 천하게 여기지 말고, 자기 자신이 크다고 해서 남의 작음을 업신여기지 말며, 자신의 용맹을 믿고서 적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

 

  ▷ 勿 : 말 물  ▷ 以 : 써 이. ~으로써, ~로, ~에 따라서, ~때문에  ▷ 蔑 : 업신여길 멸  ▷ 恃 : 믿을 시

 

馬援曰 聞人之過失 如聞父母之名 耳可得聞 口不可言

 마원왈    문인지과실      여문부모지명       이가득문     구불가언

 

  ☞ 마원이 말하기를, "남의 허물(과실)을 듣거든 마치 어버이의 이름을 듣는 것과 같이 하여, 귀로 들을지언정 입으로는 말하지 말라."

 

  ▷ 마원(B.C. 11∼A.D. 49) : 후한(後漢)의 장군으로 자는 문연(文淵).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복파장군(伏波將軍)으로 임명되어 베트남과 흉노(匈奴) 토벌 등 많은 무공을 세웠고, 그 공으로 신식후(新息侯)에 봉해졌다.  ▷ 可 : ~할 수 있다. 不可는 '옳지 않다, 할 수 없다, 하지 말라'의 뜻

 

康節邵先生曰 聞人之謗未嘗怒 聞人之譽未嘗喜

 강절소선생왈       문인지방미상로        문인지예미상희

聞人之惡未嘗和 聞人之善則就而和之 又從而喜之

 문인지악미상화         문인지선즉취이화지        우종이희지

 

其時 樂見善人 樂聞善事 樂道善言 樂行善意

 기시  낙견선인      낙문선사     낙도선언     낙행선의

聞人之惡 如負芒刺 聞人之善 如佩蘭蕙

 문인지악     여부망자     문인지선     여패란혜

 

  ☞ 강절(康節) 소선생이 말하기를, "남의 비방을 들어도 일찍 성내지 말며, 남의 칭찬을 들어도 일찍 기뻐하지 말라. 남에게 악한 말을 듣더라도 이에 부화뇌동하지 말며, 남의 착한 것을 듣거든 곧 나아가 정답게 하고 또 따라서 기뻐하라."

 그의 시(時)에 이르기를, "착한 사람 보기를 즐겨하며, 착한 일을 듣기를 즐겨하며, 착한 말 이르기를 즐겨하며, 착한 뜻 행하기를 즐겨하라. 남의 악한 것을 듣거든 가시를 등에 진 것 같이 하고, 남의 착한 것을 듣거든 난초를 몸에 지닌 것 같이 하라."

 

  ▷ 人 : 다른 사람  ▷ 謗 : 헐뜯을 방  ▷ 未 : 아닐 미, 아직 미  嘗 : 일찍이 상  *未嘗 : 일찍이 ∼한 적이 없다  ▷ 怒 : 성낼 로  ▷ 譽 : 기릴 예, 칭찬할 예  ▷ 喜 : 기쁠 희  ▷ 和 : 화할 화. '未嘗和'에서는 '부화뇌동(附和雷同)'의 뜻. 就而和之에서는 '화목하다, 서로 응하다'의 뜻  ▷ 則 : ~하면(가정)  ▷ 就 : 나아갈 취  ▷ 又 : 또 우  ▷ 從 : 좇을 종  ▷ 道 : 말할 도  ▷ 負 : 질 부  ▷ 芒 : 가시랭이 망  ▷ 刺 : 가시 자  ▷ 佩 : 찰 패  ▷ 蕙 : 혜초 혜(난초의 일종으로 향초(香草)로 쓰임)

 

道吾善者是吾賊 道吾惡者是吾師

 도오선자시오적       도오악자시오사

 

  ☞ 나의 착한 점을 말하여 주는 사람은 곧 내게 해로운 사람이요, 나의 나쁜 점을 말하여 주는 사람은 곧 나의 스승이다.

 

  ▷ 道 : 말할 도  ▷ 吾 : 나 오  ▷ 是 : ~이다  ▷ 賊 : 도둑 적

 

太公曰 勤爲無價之寶 愼是護身之符

태공왈    근위무가지보       신시호신지부

 

  ☞ 태공이 말하기를, "근면함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귀중한 보배이며, 신중함은 몸을 보호해 주는 부적이다."

 

  ▷ 勤 : 부지런할 근  ▷ 爲 : ~이 되다  ▷ 價 : 값 가, 값어치 가  ▷ 愼 : 삼갈 신  ▷ 是 : ~이다  ▷ 護 : 보호할 호  ▷ 符 : 부신 부  *부신 = 부적, 호신부, 증표로 삼는 물건

 

景行錄曰 保生者寡慾 保身者避名 無慾易 無名難

 경행록왈    보생자과욕       보신자피명     무욕이   무명난


  ☞ <경행록>에 이르기를, "삶을 올바르게 보전하려는 자는 욕심을 적게 하고, 몸을 온전히 보전하려는 자는 이름이 알려지기를 피할 것이니, 욕심을 없게 하기는 쉬우나 명예를 바라지 않기는 어렵다."

 

  ▷ 保 : 지킬 보, 보전할 보  ▷ 寡 : 적을 과  ▷ 慾 : 욕심 욕  ▷ 避 : 피할 피  ▷ ~易 ~難 '~하기는 쉬우나 ~하기는 어렵다'

 

子曰 君子有三戒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자왈    군자유삼계     소지시     혈기미정    계지재색 

及其壯也 血氣方剛 戒之在鬪 及己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

급기장야    혈기방강     계지재투     급기노야      혈기기쇠    계지재득

 

  ☞ 공자가 말하기를, "군자는 세 가지 경계할 것이 있으니, 어릴 적에는 혈기(血氣)가 아직 정하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여색(女色)을 경계해야 하고, 그 몸이 장성함에 이르면 혈기 또한 바야흐로 강성해지므로 싸움을 경계해야 하며, 몸이 늙음에 이르면 혈기가 이미 쇠약해졌으므로 경계할 것이 욕심을 내어 얻으려는데 있다."

 

  ▷ ~有~ : ~에 ~가 있다.  ~在~ : ~가 ~에 있다.  ▷ 戒 : 경계할 계  ▷ 色 : 색(여색), 색정(色情)  ▷ 及 : 미칠 급, 이를 급  ▷ 其 : 그 기. 앞의 군자를 가리킴  ▷ 壯 : 씩씩할 장, 장할 장, 성할 장  ▷ 也 : ~이다  ▷ 方 : 바야흐로 방  ▷ 剛 : 굳셀 강  ▷ 鬪 : 싸울 투  ▷ 旣 : 이미 기  ▷ 衰 : 쇠할 쇠, 약해질 쇠

 

孫眞人養生銘云 怒甚偏傷氣 思多太損神 神疲心易役

 손진인양생명운       노심편상기      사다태손신      신피심이역

氣弱病相因 勿使悲歡極 當令飮食均 再三防夜醉 第一戒晨嗔

 기약병상인      물사비환극      당령음식균       재삼방야취    제일계신진

 

  ☞ 손진인의 양생명에 이르기를, "성냄이 심하면 기운이 한쪽으로 치우쳐 상하게 하고, 생각이 많으면 크게 정신을 손상시킨다. 정신이 피로하면 마음이 고달퍼지기 쉽고, 기운이 약하면 그에 따라서 병이 생겨난다.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기뻐하지 말 것이며, 음식은 마땅히 고르게 섭취하고, 밤에 술 취하는 것을 두 번 세 번 삼가야 하며, 새벽녘에 성내는 것을 첫째로 경계하라."

 

  ▷ 甚 : 심할 심  ▷ 偏 : 치우칠 편  ▷ 傷 : 상할 상  ▷ 太 : 클 태. 여기서는 '크게'라는 부사로 쓰임  ▷ 損 : 감소하다, 줄다, 잃다, 손해를 보다  ▷ 神 : 귀신, 정신, 혼  ▷ 疲 : 피곤할 피  ▷ 役 : 부릴 역. 心役은 마음을 일꾼 부리듯 부리니까 '마음이 힘들다', '마음이 고달프다'  ▷ 因 : 인할 인. 유래, 까닭, 연유  ▷ 使 : 하여금 사, 부릴 사. '~로 하여금 ~하게 하다'  ▷ 歡 : 기뻐할 환  ▷ 當 : 마땅할 당  ▷ 令 : 하여금 령 = 使  ▷ 均 : 고를 균  ▷ 晨 : 새벽 신  ▷ 嗔 : 성낼 진

 

景行錄云 食淡精神爽 心淸夢寐安

 경행록운     식담정신상     심청몽매안

 

  ☞ <경행록>에 이르기를, "먹는 것이 담백하면 마음이 상쾌하고, 마음이 맑으면 잠을 편히 잘 수 있다."

 

  ▷ 食 : 먹을 식, 밥 식  ▷ 淡 : 물 맑을 담  ▷ 爽 : 시원할 상. 마음이 맑고 즐겁다  ▷ 淸 : 맑을 청, 깨끗할 청  ▷ 寐 : 잠잘 매

 

定心應物 雖不讀書 可以爲有德君子

 정심응물    수불독서       가이위유덕군자 

 

  ☞ 마음가짐을 안정되게(편하게) 하여 모든 일을 대한다면 비록 글을 읽지 않았더라도 덕이 있는 군자라 할 수 있다.

 

  ▷ 應 : 응할 응  ▷ 物 : 만물 물  ▷ 雖 : 비록 수  ▷ 可以 : ~할 수 있다, ~할 만하다.  *以爲 : ~을 ~으로 한다, ~을 ~라고 여기다, ~으로 생각하다. 따라서 可以爲는 ~을 ~라고 할 수 있다, ~을 ~으로 생각할(여길) 수 있다

 

 近思錄云 懲忿如救火 窒慾如防水

 사록운     징분여구화      질욕여방수

 

  ☞ 근사록에 이르기를, 분함을 참는 것을 불을 끄듯이 하고, 욕심 막기를 큰물을 막는 것 같이 하라.

 

  ▷ 懲 : 혼날 징, 징계할 징  ▷ 忿 : 성낼 분. 분한 마음  懲忿은 분한 마음을 참다(억누르다)  ▷ 救 : 건질 구, 막을 구  救火는 '불을 끄다'의 뜻  ▷ 窒 : 막을 질

 

夷堅志云 避色如避讐 避風如避箭 莫喫空心茶 少食中夜飯

 이견지운     피색여피수      피풍여피전      막끽공심다     소식중야반

 

  ☞ 이견지에 말하기를, "여색(女色) 피하기를 원수 피하는 것과 같이 하고, 바람을 피하기를 날아오는 화살 피하는 것 같이 하며, 빈속에 차를 마시지 말고, 한밤중에는 밥을 적게 먹어라."

 

  ▷ 風 : 불건전한 남녀관계를 뜻한다. '바람 피우다'  ▷ 箭 : 화살 전  ▷ 莫 : 아닐 막, 없을 막, 말 막(금지의 뜻)  ▷ 喫 : 마실 끽  ▷ 飯 : 밥 반

 

荀子曰 無用之辯 不急之察 棄而勿治

 순자왈    무용지변     불급지찰     기이물치

 

  ☞ 순자가 말하기를, "쓸데없는 말(변론, 논쟁)과 급하지 아니한 일은 내버려두고 다스리지 말라."

 

  ▷ 辯 : 말 잘할 변, 따질 변  ▷ 急 : 급할 급, 빠를 급  ▷ 察 : 살필 찰. 살펴서 알다, 조사하다, 생각하여 보다.  ▷ 棄 : 버릴 기  ▷ 而 : ~하고, ~하여

 

子曰 衆好之 必察焉 衆惡之 必察焉

 자왈  중호지    필찰언    중오지    필찰언

 

  ☞ 공자가 말하기를, "모든 사람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하며, 모든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 '之, 焉'은 말끝에 붙는 종결형 어조사로 특별한 뜻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 惡 : 미워할 오, 욕설할 오

 

酒中不語 眞君子 財上分明 大丈夫

 주중불어    진군자     재상분명     대장부

 

  ☞ 술이 취한 가운데에도 말이 없음은 참다운 군자요, 재물에 대하여 분명함은 대장부이다.

 

  ▷ 上 : 명사 뒤에 붙는 접미사로 사물의 분야나 범위를 나타냄

 

 萬事從寬 其福自厚

 만사종관     기복자후

 

  ☞ 모든 일에 너그러움을 좇으면 그 복이 저절로 두터워진다.

 

  ▷ 從 : 좇을 종 ※좇다 = ~을 따르다.  쫓다 = 억지로 몰아내다, 내쫓다.  ▷ 寬 : 너그러울 관  ▷ 自 : 스스로 자, 저절로 자  ▷ 厚 : 두터울 후

 

太公曰 欲量他人 先須自量

 태공왈    욕량타인     선수자량


傷人之語 還是自傷 含血噴人 先汚其口

 상인지어    환시자상     함혈분인     선오기구

 

  ☞ 태공이 말하기를, "남을 알려고 하거든 모름지기 먼저 자신부터 헤아려 보라. 남을 해치는 말은 도리어 자기 자신을 해치는 것이니, 피를 머금어 남에게 뿜으면 먼저 자신의 입이 더러워진다."

 

  ▷ 欲 : 하고자 할 욕  ▷ 量 : 헤아릴 량  ▷ 須 : 모름지기 수(모름지기=마땅히, 응당)  ▷ 還 : 돌아올 환  ▷ 是 : ~이다.  還是는 '도리어(오히려) ~이다'  ※ 只是(지시)~ : 단지 ~이다. 總是(총시)~ : 모두 ~이다. 都是(도시)~: 모두 ~이다. 亦是(역시)~: 또한 ~이다.  ▷ 含 : 머금을 함  ▷ 噴 : 뿜을 분  ▷ 汚 : 더러울 오

 

凡戱無益 惟勤有功

 범희무익   유근유공


  ☞ 모든 유희(遊戱)는 전혀 이로움이 없고, 오직 부지런한 것만이 성공을 이룰 수 있다.

 

  ▷ 凡 : 무릇 범, 모두 범, 범상할(평범할) 범  ▷ 戱 : 희롱할 희, 놀 희, 연극 희  ▷ 惟 : 생각할 유, 오직 유  ▷ 勤 : 부지런할 근

 

太公曰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태공왈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 태공이 말하기를, "남의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고, 남의 오얏(자두)나무 아래에선 갓을 고쳐 쓰지 말라."

 

  ▷ 瓜 : 오이 과  ▷ 納 : 들일 납, 바칠 납, 거둘 납  ▷ 履 : 신 리, 신을 리, 밟을 리  ▷ 李 : 오얏나무 리  ▷ 整 : 가지런할 정. 여기서 整 대신 正으로도 씀  ▷ 冠 : 갓 관

 

景行錄曰 心可逸 形不可不勞 道可樂 心不可不憂

 경행록왈    심가일     형불가불로      도가락     심불가불우

形不勞則怠惰易弊 心不憂則荒淫不定

 형불로즉태타이폐         심불우즉황음부정

故 逸生於勞而常休 樂生於憂而無厭 逸樂者憂勞豈可忘乎

 고    일생어로이상휴          낙생어우이무염       일락자우로기가망호  

 

  ☞ <경행록>에 이르기를, "마음은 편히 할 수 있지만 몸은 일을 하지 않을 수 없고, 도는 즐길 수 있지만 마음은 근심하지 않을 수 없다. 몸은 일을 하지 않으면 게을러서 허물어지기 쉽고, 마음이 근심하지 않으면 황폐하고 음란해져 안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편안함은 일을 하는 데에서 생겨야 항상 기쁠 수 있고, 즐거움은 근심하는 데서 생겨야 싫증이 나지 않으니, 편안하고 즐거운 자가 근심과 수고로움을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 逸 : 편안할 일  ▷ 形 : 모양(형상) 형, 몸(육체) 형  ▷ 不可不 : ~하지 않을 수 없다  ▷ 則 : ~한다면, ~이면  ▷ 怠 : 게으를 태  ▷ 惰 : 게으를 타  ▷ 弊 : 폐단(폐해) 폐, 해질 폐, 곤할 폐(기운이 없이 느른하거나 정신이 가물가물한 모양)  ▷ 淫 : 음란한 음  *荒淫 : 주색에 빠짐  ▷ 故로 : 그러므로, 때문에, 까닭에  ▷ 生於 : ~에서 생기다  ▷ 厭 : 싫을 염  ▷ 豈 : 어찌 기  乎 : 의문형 어조사. ~겠는가?, ~인가?  *豈∼乎 : 어찌 ∼할 수 있겠는가?(반어형)

 

 耳不聞人之非 目不視人之短 口不言人之過 庶幾君子

  이불문인지비       목불시인지단      구불언인지과     서기군자

 

  ☞ 귀로는 남의 그릇됨을 듣지 말고, 눈으로는 남의 단점을 보지 않으며, 입으로는 남의 허물을 말하지 않아야 군자라고 할 수 있다.

 

  ▷ 人 : 남, 타인  ▷ 過 : 허물 과  ▷ 庶 : 거의 서  幾 : 거의 기, 가까울 기  *庶幾 ~에 거의 가깝다, 거의 ~와 같다

 

蔡伯曰 喜怒在心 言出於口 不可不愼

 채백개왈    희로재심    언출어구     불가불신

 

  ☞ 채백개가 말하기를, "기뻐하고 노여워하는 것은 마음 속에 있고, 말은 입에서 나오는 것이니 신중하지 않을 수 없다."

 

  ▷ 出於 : ~에서 나오다  ▷ 不可不 : ~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 않으면 안된다.  ▷ 愼 : 삼갈 신

 

宰予晝寢 子曰 朽木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也

 재여주침    자왈    후목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 재여가 낮잠을 자고 있자 공자가 말하기를, "썩은 나무는 조각을 할 수 없고, 썩은 흙으로 만든 담은 손질을 못할 것이다."

 

  ▷ 재여는 공자의 제자  ▷ 朽 : 썩을 후  ▷ 雕 : 새길 조, 조각할 조 ≒ 彫  ▷ 也 : 종결형 어조사. '~이다'  ▷ 糞 : 똥 분  糞土 : 썩은 흙  ▷ 墻 : 담 장  ▷  : 흙손질할 오

 

紫虛元君誠諭心文曰  福生於淸儉 德生於卑退 道生於安靜

 자허원군성유심문왈        복생어청검      덕생어비퇴      도생어안정

命生於和暢 憂生於多慾 禍生於多貪 過生於輕慢 罪生於不仁

명생어화창      우생어다욕      화생어다탐      과생어경만     죄생어불인

戒眼莫看他非 戒口莫談他短  戒心莫自貪嗔 戒身莫隨惡

 계안막간타비      계구막담타단       계심막자탐진       계신막수악반

無益之言莫妄說 不干己事莫妄爲 尊君王孝父母 敬尊長奉有德

무익지언막망설       불간기사막망위       존군왕효부모        경존장봉유덕

別賢愚恕無識  物順來而勿拒  物旣去而勿追 身未遇而勿望

별현우서무식       물순래이물거         물기거이물추      신미우이물망

事已過而勿思 聰明多暗昧 算計失便宜 損人終自失 依勢禍相隨

사이과이물사   총명다암매    산계실편의    손인종자실   의세화상수

 戒之在心 守之在氣 爲不節而亡家 因不廉而失位

 계지재심     수지재기       위부절이망가      인불렴이실위

勸君自警於平生 可歎可驚而可畏 上臨之以天鑑 下察之以地祇

 권군자경어평생       가탄가경이가외        상림지이천감      하찰지이지기

明有三法相繼  暗有鬼神相隨  惟正可守 心不可欺 戒之戒之

 명유삼법상계        암유귀신상수       유정가수     심불가기    계지계지

  ☞ 자허원군의 성유심문에서 이르기를, "복(福)은 청렴하고 검소한 데서 생기고, 덕(德)겸손하고 사양하는 데서 생기며, 도(道)는 편안하고 고요한 데서 생기고, 생명은 온화하고 맑은 곳에서 생긴다. 근심은 욕심이 많은 데서 생기고, 재앙은 탐욕이 많은 데서 생기며, 과실은 경솔하고 교만한 데서 생기고, 죄악은 어질지 못한 데서 생긴다.

 눈을 경계하여 남의 그릇된 것을 보지 말고, 입을 조심하여 남의 결점을 말하지 말고, 마음을 경계하여 스스로 탐내고 성내지 말며, 몸을 조심하여 나쁜 벗을 따르지 말라. 이롭지 않은 말은 함부로 하지 말고, 나와 관계없는 일은 함부로 하지 말라.

  임금을 높이어 공경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웃어른을 존경하고 덕 있는 자를 받들며, 어진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을 분별하고 무식한 자를 꾸짖지 말고 용서하라.

  일이 순리대로 찾아오면 물리치지 말고 이미 지나갔거든 뒤쫓지 말며, 몸이 아직 때를 만나지 못했어도 바라지 말고 일이 이미 지나갔거든 생각하지 말라.

  총명한 사람도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을 때가 많으며, 계획을 치밀하게 세워 놓았어도 편의를 잃을 수가 있다. 남을 손상케 하면 마침내 자기도 손실을 입을 것이요 세력(권세)에 의존하면 재앙이 따른다.

  경계하는 것은 마음에 있고 지키는 것은 기운에 있다. 절약하지 않으면 집안이 망하게 되고 청렴하지 않으면 지위를 잃게 된다.

  그대에게 평생을 두고 스스로 경계할 것을 권고하니, 감탄할 만하고, 놀랄 만하며, 두려워할 만한 것이다. 위로는 하늘의 거울이 비추어 살펴보고, 아래로는 땅의 신령이 있어 살피고 있다. 밝은 곳에는 삼법(三法)이 서로 이어져 있고, 어두운 곳에는 귀신이 서로 따르고 있다. 오직 바른 것을 지키고 마음을 속여서는 안되니, 이를 경계하고 또 경계하라."

 

  ▷ 자허원군 : 도가(道家)의 사람으로 추정  ▷ 生於 : ~에서 생기다  ▷ 儉 : 검소할 검  ▷ 卑 : 낮을 비  ▷ 退 : 물러날 퇴  ▷ 靜 : 고요할 정  ▷ 暢 : 화창할 창  和暢 '온화하고 맑음'  ▷ 輕 : 가벼울 경  ▷ 慢 : 게으를 만, 오만할 만, 업신여길 만  ▷ 戒 : 경계할 계  ▷ 莫 : 말 막. ~하지 말라  ▷ 看 : 볼 간  ▷ 嗔 : 성낼 진  ▷ 隨 : 따를 수  伴 : 짝 반  隨伴 '가까이하며 따르다', '함께 일어나거나 나타나다'  ▷ 妄 : 망령될 망  ▷ 干 : 간섭할 간  ▷ 尊 : 높을 존  尊長 '웃어른, 어르신'  ▷ 順 : 좇을 순, 순할 순  ▷ 拒 : 막을 거  ▷ 遇 : 만날 우  ▷ 已 : 이미 이  ▷ 過 : ① 과오, 과실, 허물 ② 지나가다, 초월하다, 여유가 있다, 심하다  ▷ 聰 : 귀밝을 총, 총명할 총  ▷ 昧 : 새벽 매, 어두울 매, 어리석을 매  ▷ 便 : 편할 편  宜 : 마땅할 의  便宜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데 편리함', '그때그때에 알맞는 조치'  ▷ 損 : 덜 손. ~에게 손해를 끼치다. ~을 손상시키다  ▷ 依 : 의지할 의  ▷ ~之在~ '~은 ~에 있다'  ▷ 爲 : 할 위, 될 위, 위할 위, 베풀 위.  因 : 연유, 까닭, 유래.  위의 문장에서 爲~, 因~ 는 모두 '~때문에'라는 뜻으로 이유를 나타낸다  ▷ 節 : 절약할 절  ▷ 廉 : 청렴할 렴, 검소할 렴  ▷ 勸 : 권할 권, 권장할 권  ▷ 君 : 그대 군, 자네 군  ▷ 警 : 경계할 경  驚 : 놀랄 경  ▷ 歎 : 기릴 탄, 감탄할 탄  ▷ 畏 : 두려워할 외  ▷ 臨 : 임할 림, 내려다 볼 림, 비출 림  ▷ 鑑 : 거울 감  ▷ 臨之, 察之, 戒之의 之는 문장의 균형감과 안정감을 줌으로써 어세(語勢), 어기(語氣) 등을 고르기 위해 써준 허사(虛辭)에 불과하며, 무엇을 특별히 가리키는 대명사가 아니다.  ▷ 祇 : 토지의 신 기  ▷ 惟 : 오직 유

 

6. 安分篇

      안분지족(安分之足)의 처세(處世). 분수를 지키면 욕됨이 없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景行錄云 知足可樂 務貪則憂

  경행록운    지족가락     무탐즉우

 

☞ <경행록>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것이요, 탐하기를 힘쓰면 곧 근심이 된다."

 

  ▷ 足 : 넉넉할 족, 족할 족  ▷ 務 : 힘쓸 무  ▷ 貪 : 탐할 탐


 知足者 貧賤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

 지족자    빈천역락     부지족자    부귀역우

 

  ☞ 만족함을 아는 사람은 가난하고 천하여도 또한 즐거울 것이요, 만족함을 모르는 사람은 부하고 귀하여도 역시 근심한다.

 

  ▷ 賤 : 천할 천  ▷ 亦 : 또, 또한  ▷ 憂 : 근심할 우

 

 濫想徒傷神 妄動反致禍

 남상도상신     망동반치화


  ☞ 분수에 넘치는 생각은 오직 정신만 상하게 할 뿐이요, 망령된 행동은 도리어 재앙만 가져온다.

 

  ▷ 濫 : 넘칠 람  濫想 '쓸데없는 생각' '분수에 넘치는 생각'  ▷ 徒 : 다만 도, 헛될 도, 한갓 도  ▷ 神 : 정신 신, 혼 신  ▷ 妄 : 허망할 망, 망령될 망  ▷ 反 : 되받을 반, 되돌릴 반  ▷ 致 : 이를 치  致禍 '재앙에 이르게 된다' '재앙이 된다'

 

知足常足 終身不辱 知止常止 終身無恥

 지족상족    종신불욕      지지상지    종신무치

 

  ☞ 만족함을 알아 늘 만족해 한다면 평생토록 욕되지 아니하고, 그칠 줄 알아 늘 적당한 선에서 그치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다.

 

  ▷ 常 : 항상 상  ▷ 辱 : 욕되게 할 욕, 욕보일 욕  ▷ 恥 : 부끄러울 치  수치(羞恥), 치욕(恥辱)

 

書曰 滿招損 謙受益

 서왈    만초손    겸수익

 

  ☞ <서경>에 이르기를, "가득 차서 넘치면 손해를 부르고 겸손하면 이익을 얻게 된다."

 

  ▷ 書는 서경(書經)을 말함  ▷ 招 : 부를 초  ▷ 謙 : 겸손할 겸

 

 安分吟曰 安分身無辱 知機心自閑 雖居人世上 却是出人間

 안분음왈     안분신무욕      지기심자한     수거인세상       각시출인간


  ☞ <안분음>에 이르기를, "편안한 마음으로 분수를 지키면 몸에 욕됨이 없을 것이요, 세상의 돌아가는 형편을 잘 알면 마음이 저절로 한가할 것이니, 비록 인간 세상에 살더라도 도리어 인간 세상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 機 : 베틀 기, 기미 기.  여기서는 세상이 돌아가는 기미, 형편의 뜻. 기틀(일의 가장 중요한 요점이나 계기)이라고 풀이하기도 함.  ▷ 閑 : 한가할 한  ▷ 雖 : 비록 수  ▷ 却 : 물리칠 각.  是 : ~이다.  却是 : '도리어 ~이다'

 

子曰 不在其位 不謀其政

 자왈    부재기위    불모기정

 

  ☞ 공자가 말하기를,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지위와 관련된 정사에 대하여 논하지 말라.

 

  ▷ 謀 : 꾀할 모. 정사를 의논하다  ▷ 政 : 정사 정. 나라를 다스리는 일


7. 存心篇

      인의(仁義)의 마음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

 

景行錄云 坐密室如通衢 馭寸心如六馬 可免過

 경행록운     좌밀실여통구       어촌심여육마      가면과

 

  ☞ <경행록>에 이르기를, "밀실(密室)에 앉아 있더라도 마치 네 거리에 앉은 것처럼 여기고, 작은 마음 다스리기를 마치 여섯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을 면할 수 있다."

 

  ▷ 坐 : 앉을 좌  座 : 자리 좌  ▷ 密室(사방이 막혀 있는 곳) ↔ 通衢(사방이 뚫린 곳)  ▷ 衢 : 네거리 구  ▷ 馭 : 말 부릴 어, 다스릴 어  ▷ 寸 : 마디 촌, 작을 촌. 길이의 단위로 一寸은 一尺의 1/10  ▷ 六馬 : '여섯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풀이함  ▷ 過 : 허물 과

 

擊壤詩云 富貴如將智力求 仲尼年少合封侯

 격양시운     부귀여장지력구         중니연소합봉후

 世人不解靑天意 空使身心半夜愁

 세인불해청천의       공사신심반야수

 

  ☞ 격양시에 이르기를, "부귀를 지혜와 힘으로 구할 수 있다면 중니(仲尼 : 孔子)는 젊은 나이에 마땅히 제후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헛되이 한밤중에 몸과 마음을 근심하게 만든다."

 

  ▷ 擊壤詩 : 송나라 때 소옹(소강절)이 엮은 <이천격양집(伊川擊壤集)>에 실려 있다.  ▷ 如 : 만약 ~한다면(=若)  ▷ 將 : ~로써, ~을 가지고.  장계취계(將計就計)  ▷ 合 : 맞을 합, 합당할 합.  합리(合理)  ▷ 解 : ~을 깨닫다. ~을 이해하다  ▷ 空 : 헛되이, 부질없이, 공연히  ▷ 使 : 하여금 사, 부릴 사. '~로 하여금 ~하게 하다'  ▷ 半夜 = 中夜 '한밤중'  ▷ 愁 : 근심 수

 

范忠宣公 戒子弟曰 人雖至愚 責人則明 雖有聰明 恕己則昏

 범충선공   계자제왈       인수지우     책인즉명     수유총명    서기즉혼

 爾曹 但當以責人之心責己

  이조    단당이책인지심책기

 恕己之心恕人則 不患不到聖賢地位也

  서기지심서인즉      불환부도성현지위야

 

  ☞ 범충선공이 자제들에게 경계하여 말하기를, "사람은 비록 자신은 지극히 어리석을지라도 남을 꾸짖는 데는 밝고, 비록 총명함이 있다 해도 자기 자신을 용서하는 데는 어둡다. 너희들은 마땅히 남을 책망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꾸짖고,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면 성현의 경지에 이르지 못할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범충선공은 북송(北宋)때의 재상으로 이름은 純仁, 字는 堯夫, 시호는 忠宣으로 범중엄(范仲淹)의 아들이다.  ▷ 雖 : 비록 수  ▷ 至 : 지극할 지  ▷ 責 : 꾸짖을 책  ▷ 恕 : 용서할 서  ▷ 昏 : 어두울 혼  ▷ 爾 : 너 이  曹 : 무리 조  爾曹는 '너희들'  兒曹는 '아이들, 자식들'  ▷ 但 : 다만 단, 무릇 단  ▷ 則 : 곧 ~이면  ▷ 患 : ~을 걱정하다  ▷ 到 : 이를 도

 

子曰 聰明思睿 守之以愚 功被天下 守之以讓

 자왈   총명사예    수지이우      공피천하     수지이양

勇力振世 守之以怯 富有四海 守之以謙

 용력진세    수지이겁     부유사해     수지이겸

 

  ☞ 공자가 말하기를, "총명하고 생각이 뛰어나도 어리석은 체하여 자기를 지켜야 하고, 공(功)이 천하를 덮을 만하더라도 겸양으로 이를 지키며, 용맹이 세상에 떨칠지라도 두려운 마음으로 이를 지키고, 부유하기가 온 세상을 가질 정도라 하더라도 겸손하여야 한다."

 

  ▷ 睿 : 밝을 예  ▷ 被 : 이불 피, 입을 피, 미칠 피  ▷ 讓 : 사양할 양  ▷ 振 : 떨칠 진  ▷ 怯 : 겁낼 겁  ▷ 四海 : 사방의 바다, 온 세상을 말함  ▷ 謙 : 겸손할 겸

 

素書云 薄施厚望者不報 貴而忘賤者不久

 소서운     박시후망자불보        귀이망천자불구

 

  ☞ 소서에 이르기를, "박하게 베풀고 후한 것을 바라는 자에게는 보답이 없고, 몸이 귀하게 되고 나서 천했던 때를 잊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 素書 : 진(秦)나라 때의 병가(兵家)인 황석공(黃石公)이 장량에게 준 병서. 흔히 <黃石公素書>라고 함  ▷ 薄 : 엷을 박 ▷ 施 : 베풀 시  ▷ 厚 : 두터울 후  ▷ 望 : 바랄 망  ▷ 久 : 오랠 구

 

施恩勿求報 與人勿追悔

 시은물구보     여인물추회

 

  ☞ 은혜를 베풀었다면 그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회하지 말라.

 

  ▷ 與 : 줄 여  ▷ 追 : 따를 추, 쫓을 추  ▷ 悔 : 뉘우칠 회, 후회할 회

 

孫思邈曰 膽欲大而心欲小 知欲圓而行欲方

 손사막왈     담욕대이심욕소        지욕원이행욕방

 

  ☞ 손사막이 말하기를, "담력은 크게 가지도록 하되 마음가짐은 섬세해야 하고, 지혜는 원만하도록 하되 행동은 방정(方正 네모반듯)하도록 해야 한다."

 

  ▷ 손사막(孫思邈)은 당(唐)나라 때의 사람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설에 정통했고 음양(陰陽), 의약(醫藥)에도 뛰어났다고 한다.  ▷ 膽 : 쓸개 담, 담력 담  ▷ 圓 : 둥글 원  ▷ 方 : 바를 방

 

念念要如臨戰日 心心常似過橋時

 염념요여임전일       심심상사과교시

 

  ☞ 생각하는 것은 항상 싸움터에 나아갔을 때와 같이 하고, 마음은 언제나 다리를 건널 때와 같이 조심해야 한다.

 

  ▷ 念念, 心心 생각마다(모든 생각에), 마음마다(모든 마음에)  ▷ 要 :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요구된다.  ▷ 臨 : 임할 림  ▷ 似 : 같을 사  ▷ 過 : 지날 과  ▷ 橋 : 다리 교

 

懼法朝朝樂 欺公日日憂

 구법조조락      기공일일우

 

  ☞ 법을 두려워하면 언제나 즐거울 것이요, 공(公 : 공적인 일, 나라의 일)을 속이면 날마다 근심이 된다.

 

  ▷ 懼 : 두려워할 구  ▷ 朝朝, 日日 아침마다, 날마다 ▷ 欺 : 속일 기  ▷ 公 : 공변될 공  "공공(公共), 공중(公衆)"의 뜻

 

朱文公曰 守口如甁 防意如城

 주문공왈    수구여병     방의여성

 

  ☞ 주문공이 말하기를, "입을 지키는 것은 병(甁)과 같이 하고, 뜻을 막기를 성을 지키는 것 같이 하라."

 

  ▷ 朱文公은 朱子를 말한다. 文은 시호이고 公은 존칭이다.  ▷ 甁 : 병 병. 입구가 좁은 병처럼 말을 삼가라는 뜻  ▷ 防 : 막을 방  ▷ 意 : 마음먹은 생각

 

心不負人 面無慙色

 심불부인     면무참색

 

  ☞ 마음이 남을 저버리지 않으면 얼굴에 부끄러운 빛이 없다.

 

  ▷ 負 : 질 부. 책임을 지다, ∼을 등지다, ∼을 저버리다.  ▷ 慙 : 부끄러울 참


人無百歲人 枉作千年計

 인무백세인     왕작천년계

 

  ☞ 사람은 백살을 사는 사람이 없건만 부질없이 천년의 계획을 세우는구나.

 

  ▷ 枉 : 굽을 왕, 억울할 왕. 부사로는 '왜곡하여, 왜곡되게'  ▷ 作 : 지을 작, 일으킬 작  ▷ 計 : 꾀, 계략, 계획

 

寇萊公六悔銘云 官行私曲失時悔 富不儉用貧時悔

 구래공육회명운       관행사곡실시회        부불검용빈시회

藝不少學過時悔 見事不學用時悔

 예불소학과시회      견사불학용시회

醉後狂言醒時悔 安不將息病時悔

 취후광언성시회      안불장식병시회

 

  ☞ 구래공의 <육회명>에 이르기를, "관직에 있을 때 사사롭고 곧지 않은 일을 행하면 벼슬을 잃었을 때 뉘우치게 되고, 돈이 많을 때에 아껴 쓰지 않으면 가난해졌을 때 뉘우치게 되고, 기술이나 재주를 어렸을 때 배우지 않으면 시기가 지났을 때 뉘우치게 되고, 일을 보고도 배우지 않으면 필요하게 되었을 때 뉘우치게 되고, 취한 뒤에 함부로 말하면 술이 깨었을 때 후회하게 되고, 몸이 건강했을 때 조심하지 않으면 병이 들었을 때 후회할 것이다."

 

  ▷ 官 : 벼슬 관  ▷ 時 : ~할 때  ▷ 醒 : 깰 성  ▷ 將 : 기를 장  息 : 쉴 식  將息 : 휴식을 취하며 건강에 힘씀 = 攝生(섭생), 養生(양생)

 

益智書云 寧無事而家貧 莫有事而家富 寧無事而住茅屋

 익지서운     영무사이가빈       막유사이가부       영무사이주모옥

不有事而住金屋 寧無病而食飯 不有病而服良藥

 불유사이주금옥      영무병이식추반       불유병이복양약

 

  ☞ <익지서>에 이르기를, "차라리 아무 사고 없이 집이 가난할지언정, 사고가 있으면서 집이 부유하게 되지 말 것이며, 차라리 아무 사고 없이 허술한 집에서 살지언정, 사고가 있으면서 좋은 집에서 살지 말 것이며, 차라리 병이 없으면서 거친 밥을 먹을지언정, 병이 있어 좋은 약을 먹지 말 것이다."

 

  ▷ 寧 : 차라리 녕.  寧 ∼ 莫(不) : 차라리 ∼할지언정 ∼하지 말라  ▷ 茅 : 띠 모  茅屋 : 띠나 이엉 등으로 엮어 만든 허술한 집  ▷  : 거칠 추  ▷ 服 : 약 먹을 복.  복용(服用)하다  ▷ 良 : 좋을 량

 

 心安茅屋穩 性定菜羹香

 심안모옥온     성정채갱향

 

  ☞ 마음이 편안하면 모옥도 평온하고, 성품이 안정되면 나물국도 향기롭다.

 

  ▷ 穩 : 평온할 온  ▷ 菜 : 나물 채  ▷ 羹 : 국 갱

 

景行錄云 責人者不全交 自恕者不改過

 경행록운    책인자부전교       자서자불개과

 

  ☞ <경행록>에 이르기를, "남을 꾸짖는 자는 사귐을 온전하게 할 수 없고, 자기 자신을 용서하는 자는 허물을 고치지 못한다."

 

  ▷ 責 : 꾸짖을 책  ▷ 全 : 온전할 전  ▷ 恕 : 용서할 서  ▷ 過 : 허물 과

 

夙興夜寐 所思忠孝者 人雖不知 天必知之

 숙흥야매     소사충효자       인수부지     천필지지

飽食煖衣 怡然自衛者 身雖安 其如子孫何

 포식난의     이연자위자      신수안     기여자손하

 

  ☞ 아침 일찍 일어나면서부터 밤에 잠들 때까지 충효만을 생각하는 자는 남이 비록 알아주지 않는다 해도 하늘은 반드시 알 것이요,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고서 안락하게 제몸만 보호하는 자는 몸은 비록 편안하나 그의 자손은 어찌 될 것인가?

 

  ▷ 夙 : 일찍 숙  ▷ 興 : 일어날 흥  ▷ 寐 : 잠잘 매  ▷ 所 ∼ 者 '∼하는 사람, ∼하는 것'  ▷ 怡 : 기뻐할 이  ▷ 然 : 그러할 연. 어떠한 상태나 모양을 나타낸다.  怡然 : 기뻐하는 모양  ▷ 如 ∼ 何 : '어떻게 할 것인가?, 어찌할까?, 어찌하여, 어찌한가?'

 

以愛妻子之心 事親則曲盡其孝 以保富貴之心 奉君則無往不忠

 이애처자지심      사친즉곡진기효        이보부귀지심       봉군즉무왕불충

 以責人之心 責己則寡過 以恕己之心 恕人則全交

 이책인지심      책기즉과과      이서기지심      서인즉전교

 

  ☞ 아내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어버이를 섬긴다면 그 효도가 지극할 것이요, 부귀를 보전하려는 마음으로 임금을 받든다면 그 어느 때나 충성할 것이다. 남을 책망하는 마음으로 자기를 책망한다면 허물이 적을 것이요,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면 온전한 사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事 : 섬길 사  ▷ 親 : 어버이 친  ▷ 曲盡 : 마음과 정성이 지극함  ▷ 無不~ : '~하지 않는 것이 없다.' 無往不~ : '어디에 가더라도 ~하지 않음이 없다.' 이중부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중부정은 강한 긍정을 뜻한다. 따라서 '언제나 ~한다'의 뜻  ▷ 寡 : 적을 과  ▷ 恕 : 용서할 서

 

爾謀不臧 悔之何及 爾見不長 敎之何益

이모부장    회지하급     이견부장     교지하익

利心專則背道 私意確則滅公

이심전즉배도      사의확즉멸공

 

  ☞ 네 꾀가 옳지 못하면 후회한들 어디에 이를 것이며(후회해도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며), 너의 소견(식견)이 뛰어나지 못하면 가르친들 무슨 이로움이 있겠는가? 오로지 자기 이익만을 위한다면 도리에 어긋나게 되고, 자기의 사사로운 마음이 굳어지면 공적(公的)인 것을 생각하는 마음은 사라지게 된다.

 

  ▷ 爾 : 너 이  ▷ 謀 : 꾀할 모, 도모할 모. 계략, 술책, 권모술수  ▷ 臧 : 착할 장  ▷ 及 : 미칠 급.  何及 : 아무 소용없다.  ▷ 長 : 뛰어날 장, 잘할 장  ▷ 專 : 오로지 전. 專則 ; 오로지 ~하면  ▷ 背 : 등 배, 배반할 배  ▷ 確 : 굳을 확

 

 生事事生 省事事省

  생사사생     생사사생

 

  ☞ 일을 만들면 일이 생기게 되고, 일을 덜면 일이 없어진다.

 

  ▷ '生事事生'에서 앞이 生은 '날 생, 낳을 생', 뒤의 生은 '~가 생기다'  ▷ 省 : 덜 생, 줄일 생.  생략(省略).  '살필 성'의 뜻도 있어 뜻과 음이 두 가지다.

'서예세상 > 漢文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13 治政篇~24 勸學篇  (0) 2011.07.07
明心寶鑑 8 戒性篇~12 立敎篇  (0) 2011.07.07
漢詩 入門  (0) 2011.06.26
故事成語  (0) 2011.06.26
道德經  (0) 2011.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