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세상/漢文 古典

中庸

bogokjh 2011. 6. 26. 14:15

中      庸

중용장구서 ( 中庸章句序 )


♣ 주자가 중용을 편찬하면서 중용장구의 서문으로 쓴 글이다.

   본 서는 4장으로 되어있으며 요, 순 및 성현으로부터 공자까지의 사상을 계승한  자사(子思)가 유가가 아닌 이단(제자백가)으로 부터의 방어를 하여 각고의 노력  끝에 중용이 저술된 경위와 중용의 뜻에 대하여 풀이하였다.


중용장구 ( 中庸章句 )


제 1 편   도와 중용 ( 道 中庸 )


♣ 본래 장명(章名) 없이 33장으로 이루어진 중용장구는, 편명(篇名)과 장명을 책에 따라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명칭을 기입한다.

    장에 따라 긴 문장도 있고 한줄 짜리 문장도 있다

    (   )안에 있는 장은 본래 장의 명칭이다


제 1 장(제1장) 천과 인 (天과 人)

 1. 天命之謂性이오 率性之謂道요 修道之謂敎니라.

      천 명 지 위 성        솔 성 지 위 도     수 도 지 위 교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道也者는 不可須臾離也니 可離면 非道也니라.

     도 야 자     불 가 수 유 리 야     가 리      비 도 야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是故로 君子는 戒愼乎其所不睹하며 恐懼乎其所不聞이니라.

     시 고     군 자     계 신 호 기 소 부 도         공 구 호 기 소 불 문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바를 조심하고 삼가며, 들리지 않는 곳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莫見乎隱이며 莫顯乎微니 故로 君子愼其獨也니라.

     막 현 호 은        막 현 호 미     고      군 자 신 기 독 야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작은 것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 삼가는 것이다.

 2. 중  화 (中和)

   喜怒哀樂之未發을 謂之中이오 發而皆中節을 謂之和니라

     희 로 애 락 지 미 발     위 지 중        발 이 개 중 절     위 지 화

   희로애락이 발(發)하지 않는 상태를 중이라 하고, 발하여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 한다.

   中也者는 天下之大本也요 和也者는 天下之達道也니라.

     중 야 자     천 하 지 대 본 야     화 야 자      천 하 지 달 도 야

   중은 천하의 대본이요, 화는 천하의 달도(통용되는 도)이다

   致中和면 天地位焉하며 萬物育焉하니라.

     치 중 화     천 지 위 언        만 물 육 언

   중과 화에 이르게 되면, 하늘과 땅이 제 자리에 있게 되고 만물이 자라게 된다.

   ☞ 본래 1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이해를 돕기 위해 2장으로 나뉜 것을 수록하였으며,

      주자는 이 1장을 중용의 총론으로 생각하여 제일 중요한 장으로 여겼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47

������������������������������������������������������������������������������������������������������������������������������������������������������������������������������������������������������������������������������������������������������������������������������������������������������������������������������������������������������������������������������������������������������������������������������������


제 2 편   군자와 중용 ( 君子와 中庸 )


제 1 장(제2장) 중용의 도 (中庸의 道)

   仲尼曰 君子는 中庸이오 小人은 反中庸이니라.

     중 니 왈  군 자     중 용         소 인     반 중 용

   공자(중니)게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중용이요, 소인은 반중용(중용에 반대)이다

   君子之中庸也는 君子而時中이오 小人之中庸也는 小人而無忌憚也니라.

     군 자 지 중 용 야     군 자 이 시 중        소 인 지 중 용 야     소 인 이 무 기 탄 야

   군자의 중용은 군자로서 때에 알맞게 하고, 소인의 중용은 소인으로서 기탄(거리낌)없는 것이다.


제 2 장(제3장) 중용의 덕 (中庸의 德)

   子曰 中庸은 其至矣乎인저 民鮮能久矣니라.

     자 왈  중 용     기 지 의 호         민 선 능 구 의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중용은 지극한(좋은)것이다, 백성들은 오래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


제 3 장(제4장) 과와 불급 (過와 不及)

   --- 知者는 過之하고 愚者는 不及也니라. ---

           지 자      과 지        우 자     불 급 야

   (공자 말씀이 도가 행하여지지 않음을 안다) 지혜로운 자는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미치지         못한다.

   --- 賢者는 過之하고 不肖子는 不及也니라.

           현 자      과 지        불 초 자     불 급 야

   (도가 밝혀지지 않음은) 현명한 자는 지나치고 못난 자는 미치지 못한다.

   人莫不飮食也나 鮮能知味也니라.

     인 막 불 음 식 야     선 능 지 미 야

   사람은 누구나 마시고 먹지 않는 사람이 없으나, 맛을 아는 사람은 드무니라.


제 4 장(제5장) 내성의 심정 (內聖의 心情)

   子曰 道其不行矣夫인저.

     자 왈  도 기 불 행 의 부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도는 행하여지지 않을 것이다. (이장은 한구 절로 이루어짐)

   ☞ 앞장의 구절을 연속하여 사람들의 성품도 까다롭고 교육도 제대로 행하여지지 않고 있으니          중용의 도가 인간사회에서 잘 행하여지기 어렵다는 뜻.


제 5 장(제6장) 순의 지혜 (舜의 智慧)

   --- 舜이 問而好察邇言하시고 隱惡而揚善하시니라.

           순      문 이 호 찰 이 언           은 악 이 양 선

   (공자께서 순은 큰 지혜를 가지신 분이구나)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시며, 비근(卑近 : 심원한        맛이 없고 낮고도 가까움) 한 말을 살피기를 좋아하시고 (천박한 말속에서도 좋은 말을 취하시고)

   악함을 감추었고 선함을 드러내시었다. (선악을 구분하는 모범을 보임)

   執其兩端하사 用其中於民하시니 其斯以爲舜乎이신저.

     집 기 양 단        용 기 중 어 민           기 사 이 위 순 호

   그 양극단을 잡으시어 그 중간을 백성들에게 적용하였으니, 이것이 순임금이 (聖人)된 까닭일 게다.

   ☞ 순(舜) : 고대 중국의 우(虞)나라 임금으로 이름은 중화(重華)였고 요(堯)임금으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BC 2255 -2207 까지 재위하다 우(禹)에게 양위함. 이복형제와 계모 밑에서                 고생을 많이 하였음에도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를 다하였다고 함


   4 서  5 경                                           제 4    중  용   48

������������������������������������������������������������������������������������������������������������������������������������������������������������������������������������������������������������������������������������������������������������������������������������������������������������������������������������������������������������������������������������������������������������������������������������


제 6 장(제7장) 참다운 지혜(智慧)

   子曰 人皆曰予知로되 驅而納諸罟擭陷穽之中而莫之知辟也라

     자 왈  인 개 왈 여 지        구 이 납 저 고 화 함 정 지 중 이 막 지 지 피 야

   공자님이 말씀하실길 사람들은 모두 자기는 지혜롭다고 말하지만, 그물과 덫이나 함정 가운데로      몰아넣어도 그것을 피할 줄 모른다.

   ☞ 화(擭) : 획, 확, 화로 읽으며 뜻은 잡을획, 덫확(덫화)을 의미한다.

   人皆曰予知로되 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니라.

     인 개 왈 여 지        택 호 중 용 이 불 능 기 월 수 야

   사람들은 모두 자신은 지혜롭다고 말하지만, 중용을 택하여 한 달 동안도 지켜 내지 못하느니라.


제 7 장(제8장) 안회의 인 (顔回의 仁)

   子曰 回之爲人也는 擇乎中庸하야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니라.

     자 왈  회 지 위 인 야     택 호 중 용         득 일 선 즉 권 권 복 응 이 불 실 지 의

   공자님 말씀이 안회의 사람됨은 중용을 택하여 한가지 선을 얻으면 받들어 가슴속에 지니고         그것을 잃지 않았다.


제 8 장(제9장) 중용의 어려움 (中庸의 어려움)

   子曰 天下國家도 可均也며 爵祿도 可辭也며 白刃도 可蹈也로되 中庸은 不可能也니라

    자 왈  천 하 국 가    가 균 야     작 록    가 사 야    백 인    가 도 야        중 용    불 가 능 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천하의 국가도 고르게 다스릴 수 있고, 작록도 사양할 수 있고, 서슬 퍼런      칼날도 밟을 수 있다 하여도 중용은 능히 할 수 없느니라.


제 9 장(제10장) 군자의 강함 (君子의 强함)

   --- 君子는 和而不流하나니 强哉矯여 中立而不倚하니 强哉矯여 ---

           군 자      화 이 불 류           강 재 교     중 립 이 불 의         강 재 교

   (자로가 강함을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화하면서도 흐르지 아니하니 강하도다            그 꿋꿋함이여, 중에서 기울어지지 아니하니 강하도다 그 꿋꿋함이여

   (時流에 휩쓸리지 아니한다는 뜻)


제 10 장(제11장) 군자의 도 (君子의 道)

   子曰 素隱行怪를 後世有述焉이나 吾弗爲之矣니라.

     자 왈  소 은 행 괴     후 세 유 술 언         오 불 위 지 의

   공자님 말씀이 은밀한 이치를 찾아 내려 하고, 괴이한 짓을 하면 후세에 떠받드는 일이 있을         것이지만 나는 그런 짓을 하지 않는다.

   君子遵道而行타가 半途而廢하나 吾弗能已矣니라.

     군 자 준 도 이 행        반 도 이 폐        오 불 능 이 의

   군자가 도를 좇아 행하다가 중도에 그만두는데 나는 그만두지 못할 것이다.

   君子는 依乎中庸하야 遯世不見知而不悔하나니 唯聖者能之니라.

     군 자     의 호 중 용        돈 세 불 견 지 이 불 회            유 성 자 능 지

   군자는 중용에 의지하여 세상에서 숨어 있어 알려지지 않아도 후회하지 않으니 이는 오직           성자라야 그렇게 할 수 있다.

   ☞ 돈세(遯世) : 돈 또는 둔으로 읽는다. 둔세(遁世)와 같으며 뜻은 세상을 피해 홀로 숨어 사는것.


   ※ 중용의 도에는 절대 선이나 절대 악이 있을 수 없으며, 선악의 기준은 상대적인 것이며 때와 장소에 따라 어느 누구에게나 알맞은 타당한 것이 중용의 길이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49

������������������������������������������������������������������������������������������������������������������������������������������������������������������������������������������������������������������������������������������������������������������������������������������������������������������������������������������������������������������������������������������������������������������������������������


제 3 편   도  론 ( 道 論 )


제 1 장(제12장) 도의 용과체 (道의 用과體)

   君子之道는 費而隱이니라.

     군 자 지 도     비 이 은

   군자의 도는 광대하면서도 은미하다. (군자가 행하는 중용의 도는 남의 눈에 안 띄지만 한없이       넓고 커서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며 그 내용은 은밀하고 미세하여 눈으로 볼 수가 없는 것이다.)

   --- 君子語大면 天下莫能載焉이오 語小면 天下莫能破焉이니라 ---

           군 자 어 대      천 하 막 능 재 언        어 소     천 하 막 능 파 언

   (중용의 지극함이란) 군자(군자의 도)가 큰 것을 말하면 천하도 능히 실을 수가 없고, 작기로         말하면 천하도 능히 이를 쪼갤 수 없다.

   --- 君子之道는 造端乎夫婦나 及其至也하여는 察乎天地니라.

           군 자 지 도      조 단 호 부 부     급 기 지 야           찰 호 천 지

   군자의 도는 필부(匹夫) 필부(匹婦)에서 발단되지만, 그 지극함에서는 천지(천지를 밝힐 수 있는        위대한 힘)에 나타난다.


제 2 장(제13장) 도의 현실성과 충서 (道의 現實性과 忠恕)

   子曰 道不遠人하니 人之爲道而遠人이면 不可以爲道니라.

     자 왈  도 불 원 인         인 지 위 도 이 원 인        불 가 이 위 도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도는 사람에게서 멀지 아니하니, 사람이 도를 행하되 사람과 멀리 한다면       도가 될 수 없다.

   --- 忠恕는 違道不遠하니 施諸己而不願을 亦勿施於人이니라. ---

           충 서      위 도 불 원        시 저 기 이 불 원     역 물 시 어 인

   충과 서는 도에서 멀지 않으니 나에게 베풀어짐을 원하지 않는 것을 또한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

   ☞ 충서(忠恕) : 주희는 “나를 다하는 마음(盡己之心)이 忠이요, 나를 미루어 남에게 미침(推己及人)                    이 恕” 라고 정의 함.

   --- 庸德之行하며 庸言之槿하야 ---

           용 덕 지 행         용 언 지 근

   평범한 덕을 (중용에 맞게)실천 하며 평범한 말도 (중용에 맞게) 조심한다.


제 3 장(제14장) 군자와 처신 (君子와 處身)

   君子는 素其位而行이오 不願乎其外니라.

     군 자     소 기 위 이 행        불 원 호 기 외

   군자는 그 자신의 위치에 알맞게 처신할 뿐이오, (부당하게 처지) 밖의 것은 바라지 않는다.

   --- 在上位하야 不陵下하며 在下位하야 不援上이니라.

           재 상 위         불 릉 하        재 하 위        불 원 상

   윗자리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을 업신여기지 아니하며, 아랫자리에 있어서는 윗사람을 잡아당기지      (아부하지) 않는다.

   正己而不求於人이면 則無怨이니 上不怨天하며 下不尤人이니라.

     정 기 이 불 구 어 인        즉 무 원        상 불 원 천         하 불 우 인

   자신을 바로잡고 남에게 (책임전가를)구하지 아니하면 원망함이 없을 것이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치 아니하며 아래로는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故로 君子는 居易以俟命하고 小人은 行險以徼幸하니라.

     고     군 자     거 이 이 사 명        소 인      행 험 이 요 행

   그러므로 군자는 평이하게 살면서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일을 행하여 요행을 기다린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0

������������������������������������������������������������������������������������������������������������������������������������������������������������������������������������������������������������������������������������������������������������������������������������������������������������������������������������������������������������������������������������������������������������������������������������

   子曰 謝有似乎君子하니 失諸正鵠이면 反求諸其身이니라.

     자 왈  사 유 사 호 군 자        실 저 정 곡         반 구 저 기 신

   공자께서 활쏘기는 군자의 태도와 유사한 점이 있다 정곡을 못 맞히면 돌이켜 자신에게서 잘못을     찾는다.


제 4 장(제15장) 도(道)는 비근(卑近)한 곳 부터

   君子之道는 辟如行遠必自邇하며 辟如登高必自卑니라. ---

     군 자 지 도     비 여 행 원 필 자 이        비 여 등 고 필 자 비

   군자의 도는 비유하면 멀리 가려면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고, 비유하면 높이              올라가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부터 시작해야 된다.

   ☞ 비(辟) : ① 비유할 <비> 비(譬)와 동일함 ② 임금<벽>, 물리칠<벽> ③ 피할 <피>


제 5 장(제16장) 귀신론 (鬼神論)

   子曰 鬼神之爲德은 其盛矣乎인저

     자 왈  귀 신 지 위 덕     기 성 의 호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귀신의 덕은 성(盛 : 매우 많다)하기도 하다

   ☞ 위 구절의 귀신은 우리가 말하는 잡신이 아닌 정령(精靈)이나 일종의 신(神)을 나타낸다.

   視之而弗見하며 聽之而弗聞이로되 體物而不可遺니라 ---

     시 지 이 불 견        청 지 이 불 문           체 물 이 불 가 유

   그것을 보려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아니하되, 만물의 본체가 되어 있기 때문에      버릴 수가 없다.


제 6 장(제17장) 순의 대덕 (舜의 大德)

   --- 大德은 必得其位하고 必得其祿하며 必得其名하고 必得其壽하니라.

           대 덕      필 득 기 위        필 득 기 록        필 득 기 명         필 득 기 수

   (공자 말씀이 순의 좋은 점을 말씀하시고) 큰 덕은 반드시 그 지위를 얻고, 반드시 그               녹(富를 말함)얻으며, 반드시 그 이름(명예)을 얻으며 반드시 그 수(오래 사는 것)를 얻는다.

   ☞ 순임금은 덕을 쌓아 성인(聖人)이 되고, 임금이 되고, 110세를 살고 자손들도 잘 되었다고함

   故로 天地生物은 必因其材而篤焉이라. 故로 栽者培之하고 傾者覆之니라. ---

     고     천 지 생 물     필 인 기 재 이 독 언        . 고      재 자 배 지        경 자 복 지

   그러므로 하늘이 만물을 낳음은 반드시 그 재질에 따라 베풀어준다 그러므로 뿌리를 뻗고 자라는     자는 북돋아 주고, 기울어진 자는 넘어뜨린다. (하늘은 공평하게 사람들을 대하지만 덕을 쌓으면     복을 더 많이 준다는 말)


제 7 장(제18장) 부조와 예제 (父祖와 禮制)

   子曰 無憂者는 其惟文王乎인저 ---

     자 왈  무 우 자      기 유 문 왕 호

   공자 말씀이 아무 걱정 없는 이는 바로 문왕 이었다.

   ☞ 공자님은 문왕을 가장 행복했던 사람으로 생각 한 것 같다.

   주의 문왕(이름은 昌)은 아버지가 이룩한 터전 위에 더욱 큰공을 쌓아 놓은 후 아들                 무왕(이름은 發) 때에 태공망 여상 (흔히 강태공이라 함)의 도움으로 상(商 : 은나라라고도 함)의      폭군 주(紂)임금을 멸하고 천하를 평정함.


제 8 장(제19장) 효와 예제 (孝와 禮制)

   --- 夫孝者는 先繼人之志하며 先述人之事者也니라. ---

            부 효 자     선 계 인 지 지        선 술 인 지 사 자 야

   대저 효라는 것은 선인의 뜻을 잘 계승하고, 선인의 일을 잘 이어나간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1

������������������������������������������������������������������������������������������������������������������������������������������������������������������������������������������������������������������������������������������������������������������������������������������������������������������������������������������������������������������������������������������������������������������������������������

제 4 편   성  론 ( 誠 論 )


제 1 장(제20장) 성과 정치 (誠과 政治)

 1. --- 其人存이면 則其政擧하고 其人亡이면 則其政息이니라.

            기 인 존         즉 기 정 거        기 인 망        즉 기 정 식

   (노나라 임금 애공이 공자께 정치에 대하여 묻자 무왕과 문왕의 기록이 있으니) 그러한 사람이       있으니 그러한 정치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사람이 없으면 그러한 정치는 없어진다.

   人道는 敏政하고 地道는 敏樹하니 夫政也者는 蒲盧也니라. ---

     인 도     민 정        지 도      민 수        부 정 야 자     포 로 야

   사람의 도는 정치에 민감하고, 땅의 도는 나무에 민감하니 무릇 정치라는 것은 창포와 갈대와        같은 것이다. (정치의 속효성이 창포와 갈대의 자라남과 비유한 뜻)

   ☞ 포로(蒲盧) : 사전에는 나나니벌로 되어있고, 포로(蒲蘆)는호리병박으로 되어있다.

      그런제 3가지의 책의 해석을 보면 로(盧) 는 갈대와 창포라고 해석을 하였다, 그러나 갈대는         로(蘆)가 맞을 것 같기도 한데 3가지 책이 똑 같이 오자일 수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주자는 창포와 갈대로 보고 정현은 나나니벌로 보았다 나나니벌은 뽕나무 벌레 새끼를 자기         새끼처럼 기른다는 뜻으로 정치도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을 교화시킨다는 뜻

   --- 仁者는 人也니 親親爲大하고 義者는 宜也니 尊賢爲大하니라. ---

           인 자      인 야     친 친 위 대         의 자     의 야     존 현 위 대

   인(仁)이라는 것은 사람다움이니 친족과 친히 지냄이 크고, 의라는 것은 마땅함이니 어진 이를       높임이 크다.

 2. 天下之達道五에 所以行之者는 三이라. ---

      천 하 지 달 도 오     소 이 행 지 자     삼

   천하에 통용되는 도는 다섯인데 그것을 행하는 것은 셋이다. (다섯은 삼강오륜의 오륜을 말함)

   --- 智仁勇三者는 天下之達德也니 所以行之者는 一也니라. ---

           지 인 용 삼 자      천 하 지 달 덕 야     소 이 행 지 자      일 야

   지, 인, 용의 세 가지는 달덕(세상에 널리 통용되는 덕)이니 그것을 행하는 것은(근본이) 하나이다.

   --- 子曰 好學은 近乎知하고 力行은 近乎仁하고 知恥는 近乎勇이니라 ---

           자 왈   호 학     근 호 지         역 행     근 호 인        지 치     근 호 용

   공자 말씀이 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지에 가깝고, 힘써 행하는 것은 인에 가깝고,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용맹 또는 용감)에 가까운 것이다.

 3. 凡爲天下國家엔 有九經이라. 曰 修身也와 尊賢也와 親親也와

      범 위 천 하 국 가     유 구 경        . 왈  수 신 야      존 현 야     친 친 야

   무릇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데는 구경이 있다 곧 몸을 닦는 것과, 어진 이를 높이는것과            친족을 친애함과

   敬大臣也와 體君臣也와 子庶民也와 來百工也와 柔遠人也와 懷諸侯也니라 ---

     경 대 신 야     체 군 신 야     자 서 민 야      내 백 공 야     유 원 인 야     회 제 후 야

   대신을 공경함과, 신하들을 보살핌과, 백성들을 자식처럼 돌보는 것과, 모든 장인(기술자)을          모이게 함과, 객지에 있는 사람을 대접함과, 제후들을 대우해 주는 것이다.

 4. 凡事는 豫則立하고 不豫則廢하니라. ---

      범 사     예 즉 립        불 예 즉 폐

   모든 일은 미리 준비하면 곧 이루어지고, 미리 준비 되어 있지 않으면 곧 실패 하게 된다.

   --- 誠身有道하니 不明乎善이면 不誠乎身矣니라.

           성 신 유 도         불 명 호 선        불 성 호 신 의

   자신을 성실하게 하는데는 도(방법)가 있으니, 선(착함)에 밝지 못하면 자신을 성실하게 할수 없다.

   誠者는 天之道也요 誠之者는 人之道也라. ---

    성 자      천 지 도 야     성 지 자      인 지 도 야

   성이란 것은 타고날 때부터 가진 도이며, 성실하게 하려는 것은 사람의 도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2

������������������������������������������������������������������������������������������������������������������������������������������������������������������������������������������������������������������������������������������������������������������������������������������������������������������������������������������������������������������������������������������������������������������������������������

   --- 誠之者는 擇善而固執之者也니라.

           성 지 자      택 선 이 고 집 지 자 야

   성실하게 한다는 것은 착한 일을 골라서 굳게 지키려는 것이다.

   博學之하며 審問之하며 愼思之하며 明辯之하며 篤行之니라. ---

     박 학 지        심 문 지        신 사 지         명 변 지        독 행 지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명확하게 판단하고, 착실하게 행할 것이다.

   (몸을 닦음에 있어서나 학문을 함에 있어서의 배우는 자세를 말함)

   --- 人一能之면 己百之하며 人十能之면 己千之니라. ---

           인 일 능 지      기 백 지        인 십 능 지     기 천 지

   남이 한 번해서 능하다면 자기는 백 번하고, 남이 열 번해서 능통하면 자신은 천 번을 해야 한다.


제 2 장(제21장) 성과 명 (誠과 明)

   自誠明을 謂之性이오 自明誠을 謂之敎니라. 誠則明矣요 明則誠矣니라.

     자 성 명     위 지 성        자 명 성      위 지 교       . 성 즉 명 의      명 즉 성 의

   성실됨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性)이라 하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성실해지는 것을           교(敎)라 한다.   성실되면 곧 밝아지고, 밝으면 곧 성실해 지는 것이다.


제 3 장(제22장) 지성과 천지 (至誠과 天地)

   --- 能盡物之性 則可以贊天地之化育이오 ---

           능 진 물 지 성   즉 가 이 찬 천 지 지 화 육

   만물의 본성을 다할 수 있으면 곧 하늘과 땅의 화육(변화와 나게 하고 자라게 함)을 도울수 있다.


제 4 장(제23장) 치곡 (致曲)

   --- 唯天下至誠이어야 爲能化니라.

           유 천 하 지 성            위 능 화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이 있어야 화(감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5 장(제24장) 지성은 여신 (至誠은 如神)

   --- 國家將興엔 必有禎祥하며 國家將亡엔 必有妖孽하나니라 ---

           국 가 장 흥      필 유 정 상        국 가 장 망     필 유 요 얼

   한 나라가 장차 흥하려 할 때에는 반드시 상서로운 징조가 있으며, 한나라가 장차 망하려 할         때에는 반드시 흉한 징조가 있다.

   --- 至誠은 如神이니라.

            지 성     여 신

   지극한 정성은 신과 같다. (지극한 정성을 쌓으면 신과 같은 힘을 가진다.)


제 6 장(제25장) 성과 성 (誠과 成)

   誠者는 自成也요 而道는 自道也니라.

     성 자     자 성 야     이 도      자 도 야

   정성이라는 것은 스스로 이루는 것이요, 도는 스스로 행하는 것이다.

   誠者는 物之終始니 不誠이면 無物이라.---

     성 자     물 지 종 시     불 성         무 물

   정성이란 것은 만물의 처음이며 끝이니, 성실하지 못하면 만물은 없어지는 것이다.

   ---誠者는 非自成己而已也요 所以成物也니라. ---

          성 자     비 자 성 기 이 이 야     소 이 성 물 야

   성(誠)이란 자기 자신을 이루게 할뿐만 아니라, 다른 사물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3

������������������������������������������������������������������������������������������������������������������������������������������������������������������������������������������������������������������������������������������������������������������������������������������������������������������������������������������������������������������������������������������������������������������������������������

제 7 장(26장) 지성과 천지지도 (至誠과 天地之道)

   --- 博厚는 配地하고 高明은 配天하고 悠久는 無彊이니라. ---

           박 후      배 지        고 명      배 천        유 구     무 강

   (德의)넓고 두터운 것은 땅과 같으며, (덕의)높고 밝음은 하늘과 같으며, (덕의)멀고 오램은 끝이       없는 것이다.

   --- 天地之道는 博也厚也高也明也悠也久也니라. ---

           천 지 지 도      박 야 후 야 고 야 명 야 유 야 구 야

   하늘과 땅의 도는 넓음이요 두터움이요 높음이요 밝음이요 오래감이요 영원함이다.


제 5 편   성  론 ( 聖 論 )


제 1 장(제27장) 성인의 도 (聖人의 道)

   大哉라 聖人之道여 洋洋乎發育萬物하야 峻極于天이로다. ---

     대 재     성 인 지 도     양 양 호 발 육 만 물         준 극 우 천

   위대하도다 성인의 도여 ! 한없이 폭넓게 만물을 생성하게 하여 높기가 하늘에까지 닿았도다.

   --- 待其人而後에行하니라. 故로 曰 苟不至德이면 至道不凝焉이라.

           대 기 인 이 후    행           . 고     왈   구 부 지 덕        지 도 불 응 언

   그러한 성인을 기다린 뒤에야 행하여진다. (일이 잘되려면 그럴 만한 사람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진실로 지극한 덕이 아니면 지극한 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 하였다

   故로 君子는 尊德性而道問學이니 致廣大而盡精微하며

     고     군 자     존 덕 성 이 도 문 학         치 광 대 이 진 정 미

   그러므로 군자는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우는 길을 가는 것이니, 넓고 큼을 목표로

   정미(아주 작고 미세한)함을 다하고,

   極高明而道中庸하며 溫故而知新하며 敦厚以崇禮니라.

     극 고 명 이 도 중 용        온 고 이 지 신        돈 후 이 숭 례

   높고 밝음을 지극히 하여 중용의 길을 갈 것이며,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알며,

   돈후(인정이 두터움)함으로 예를 높이는 것이다.

   是故로 居上不驕하며 爲下不倍하니라.

     시 고     거 상 불 교        위 하 불 배

   그렇기 때문에 윗자리에 있어도 교만하지 아니하며, 아랫자리에 있게 되어도 배반하지 않는다.

   國有道엔 其言足以興이오 國無道엔 其黙則以容이니라. ---

     국 유 도     기 언 족 이 흥        국 무 도      기 묵 즉 이 용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그 말은 족히 받아들여지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그 침묵은           용납되기에 족하다. (난세에서는 가만히 있는 것도 비난 받지 않는 하나의 방법이다)


제 2 장(제28장) 시세에의 순응 (時世에의 順應)

   子曰 愚而好自用하며 賤而好自專하니라.

     자 왈  우 이 호 자 용        천 이 호 자 전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어리석으면서 자기를 내세우기를 좋아하며, 비천하면서 자기 멋대로 행동       하기를 좋아한다.

   生乎今之世하야 反古之道면 如此者는 災及其身者也니라. ---

    생 호 금 지 세         반 고 지 도     여 차 자      재 급 기 신 자 야

   지금 세상에 나서 옛날의 도를 어긴다면 이러한 자는 재앙이 그의 몸에 미치게 될 것이다.

   ☞ 재(災) : 재의 본래 글자는 재(哉)에서 ㅁ 자 대신 불화(火)자를 넣은 글자인데 글자판에 그러한               한자가 없어 같은 뜻과 의미로 쓰이는 재(災)로 하였다. 재(災)의 본래 글자는 앞에서                말한 대로이며 현재는 재(災)로 쓰고 있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4

������������������������������������������������������������������������������������������������������������������������������������������������������������������������������������������������������������������������������������������������������������������������������������������������������������������������������������������������������������������������������������������������������������������������������������

제 3 장(제29장) 성인과 치리 (聖人과 治理)

   --- 君子之道는 本諸身하야 徵諸庶民하며 考諸三王而不謬하며

           군 자 지 도      본 저 신        징 저 서 민        고 저 삼 왕 이 불 류

   그러므로 군자의 도는 자신을 근본으로 하여 백성들에게 시험해 보고 삼왕(하나라의 우왕,           은나라의 탕왕, 주나라의 문왕 무왕)들에게 비추어 보아 그릇된 것이 없고,

   建諸天地而不悖하며 質諸鬼神而無疑하며 百世而俟聖人而不惑이니라. ---

     건 저 천 지 이 불 패        질 저 귀 신 이 무 의        백 세 이 사 성 인 이 불 혹

   천지에 세워 두어도 어긋남이 없고, 귀신에 물어 보아도 의심되는 것이 없으며, 백대 뒤의 성인을     다시 만나도 의혹을 받지 않는다.


제 4 장(제30장) 공자와 천덕 (孔子와 天德)

   仲尼는 祖述堯舜하시고 憲章文武하시며 上律天時하시고 下襲水土하시니라. ---

     중 니     조 술 요 순           헌 장 문 무          상 률 천 시           하 습 수 토

   중니(공자님)는 요임금과 순임금을 조종으로 이어 받고, 문왕과 무왕의 법도를 지켰으며 위로는      하늘의 뜻을 법으로 삼고 아래로는 물과 흙의 이치를 따랐다.

   --- 萬物並育而不相害하며 道竝行而不相悖니라.

           만 물 병 육 이 불 상 해         도 병 행 이 불 상 패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해치지 아니하며, 도는 함께 행하여져도 서로 거슬리지 낳는다.

   小德은 川流요 大德은 敦化니 此天地之所以爲大也니라.

    소 덕      천 류      대 덕     돈 화     차 천 지 지 소 이 위 대 야

   작은 덕은 냇물이 흐르는 것과 같고, 큰 덕은 (백성들을) 돈독히 교화시킨다. 이것이 하늘과 땅이     위대한 이유인 것이다.


제 5 장(제31장) 지성의 덕화 (至誠의 德化)

   唯天下至聖이어야 爲能聰明叡智로 足以有臨也니라. ---

     유 천 하 지 성           위 능 총 명 예 지     족 이 유 림 야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인이어야 총명하고 예지가 있음으로써 족히 (올바로 일을 처리함에)           임할 수 있다.

   --- 溥博은 如天하고 淵泉은 如淵이라 ---

           부 박      여 천        연 천      여 연

   (성인은 총명과 예지를 나면서부터 지니고 있으며 그 성인의 덕은) 두루 넓음은 하늘과 같고,        깊은 근원은 연못과 같다.


제 6 장(제32장) 지성의 경륜 (至誠의 經綸)

   唯天下至誠이어야 爲能經綸天下之大經하며

     유 천 하 지 성           위 능 경 륜 천 하 지 대 경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이라야 천하의 큰 도를 다스릴 수 있다.

   立天下之大本하고 知天地之化育이니 夫焉有所倚리오.

     입 천 하 지 대 본        지 천 지 지 화 육        부 언 유 소 의

   천하의 대본을 세울 수 있으며 하늘과 땅의 화육을 알 수 있으니 어찌 누구에게 의지하는 데가 있으랴

   盹盹其仁이며 淵淵其淵이며 浩浩其天이니라 ---

     순 순 기 인        연 연 기 연         호 호 기 천

   지극한 정성은 그 인이며, 깊고 깊음은 그 못이며, 넓고 넓음은 그 하늘이다.

   ☞ 순(盹) : 정성스러울 <순>. 또는 <준>으로도 읽는다.



   4 서  5 경                                           제 4    중  용   55

������������������������������������������������������������������������������������������������������������������������������������������������������������������������������������������������������������������������������������������������������������������������������������������������������������������������������������������������������������������������������������������������������������������������������

제 7 장 (제33장) 내적충실과 외적징험(內的忠實과 外的徵驗)

   --- 君子之道는 闇然而日章하고 小人之道는 的然而日亡하니라. ---

           군 자 지 도      암 연 이 일 장        소 인 지 도     적 연 이 일 망

   군자의 도는 보이지 않는것 같으나 날로 밝아지고, 소인의 도는 밝은 것 같으나 날로 어두워진다.

   --- 君子는 不動而敬하고 不言而信하니라. ---

           군 자      부 동 이 경        불 언 이 신

   군자는 움직이지 않아도 존경받고, 말하지 않아도 믿음이 있다.

   --- 君子는 不賞而民勸하며 不怒而民威於鈇鉞이니라. ---

           군 자      불 상 이 민 권        불 노 이 민 위 어 부 월

   군자는 상을 주지 않아도 백성들이 권면(힘을 쓰다)하며, 성을 내지 않아도 백성들은 도끼보다       두려워한다.

   --- 君子는 篤恭而天下平이니라. ---

           군 자      독 공 이 천 하 평

   군자는 공경을 돈독히 함으로써 (군자의 덕을 백성들이 본받아서) 천하를 화평케 하는 것이다.

   --- 子曰 聲色之於以化民엔 末也라. ---

           자 왈   성 색 지 어 이 화 민     말 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목소리와 얼굴빛으로 백성을 다스림은 말단이다.


                                                         중 용  끝



'서예세상 > 漢文 古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0) 2011.06.26
菜根潭  (0) 2011.06.26
大學  (0) 2011.06.26
孟子  (0) 2011.06.26
論語  (0) 2011.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