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블로그]論語: 論 語 제 1 편 학 이( 學 而 ) ♣ 학이편은 논어의 서편(緖編)으로 학문의 중요성과 공자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1. 子曰 學而時習之 면 不亦說乎 아 , 학 이 시 습 지 불 역 열 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
[Daum블로그]孟子: 孟 子 제 1 편 양혜왕 장구 상 (梁惠王 章句 上) ♣ 양혜왕은 전국시대의 7국중의 하나인 위나라(양나라 라고도 함)혜왕을 말함. 휼륭한 성군은 요와순이 있을 뿐으로 요순의 정치 도의인 인의가 제일이라 생각하여 첫 편으로 삼은 것 같음 1. --- 何必曰..
[Daum블로그]中庸: 中 庸 중용장구서 ( 中庸章句序 ) ♣ 주자가 중용을 편찬하면서 중용장구의 서문으로 쓴 글이다. 본 서는 4장으로 되어있으며 요, 순 및 성현으로부터 공자까지의 사상을 계승한 자사(子思)가 유가가 아닌 이단(제자백가)으로 부터의 방어를 하여 각고의 노력 끝..
[Daum블로그]大學: 大 學 대학장구서 ( 大學章句序 ) ♣ 주자가 대학을 편찬하면서 대학장구의 서문으로 쓴 글이다. 6장으로 되어 있는 본 글은 삼황오제의 시대부터 교육제도 및 이념을 설명하고, 대학으로서 발전 과정과 그 동안의 병폐에 대한 것과 본 서문을 쓰게 된 동기에 대..
[Daum블로그]菜根潭: 채근담(菜根潭) 1. 자연편(自然篇) 바람이 성긴 대숲에 오매 바람이 지나가면 대가 소리를 지니지 않고 기러기가 차가운 못을 지나매 기러기 가고 난 다음에 못이 그림자를 머무르지 않나니 그러므로 군자는 일이 생기 면 비로소 마음에 나타나고 일이 지나고 나..
[Daum블로그]故事成語: 고사성어 - 가 - 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을 혹하게 받고 강제로 청구하여 국민을 못 살게 구는 일. 刻骨難忘(각골난망) 남의 은혜가 마음깊이 세겨져 잊혀지지 아니함. 刻舟求劍( 각주구검 ) 옛날 楚(초)나라 사람이 나루를 건너다가 물속에 칼을 떨어뜨리..